Đăng ký Đăng nhập
Trang chủ 한국어 날씨 예측 속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Tài liệu 한국어 날씨 예측 속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PDF
81
29
102

Mô tả: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NGÔ THỊ HẰNG 한국어 날씨 예측 속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Nghiên cứu về đặc điểm của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trong tiếng Hàn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하노이- 2021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NGÔ THỊ HẰNG 한국어 날씨 예측 속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Nghiên cứu về đặc điểm của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trong tiếng Hàn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지도교수: NGUYỄN THỊ THU VÂN 하노이- 2021 서약문 본 논문은 본인만 작성한 것이라고 약속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결과 발표에서 진실성을 지키며 변조 및 표절을 하지 않는다. 다른 연구자의 공개된 학술 자료를 인용할 경우에는 출서를 명확히 밝혔다. 하노이, 2021 년 03 월 10 일 지은이: 응오 티 항 i 감사의 말씀 어느 새 2 년의 석사과정을 마치고 학위 논문을 제출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2 년의 시간 동안 저에게 도움을 주신 분들이 많습니다. 미흡하지만 학위 논문을 마치면서 그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누구보다도 많은 도움을 주시고, 부족한 점을 언제나 세심하고 꼼꼼한 손길로 지적해주신 Nguyễn Thị Thu Vân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이와 함께 제가 이곳에 올 수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대학원 과정을 구축해주신 대학원과 한국어 및 한국 문화학부의 교수님들께도 감사 드립니다. ii 국문 요약 한국어 날씨 예측 속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속담은 하나의 언어적 문화유산이자 자국의 문화 특징을 반영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속담은 누가, 언제, 어떻게 만들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내용을 보면 직접적, 간접적으로 그 민족의 삶의 방식에 대한 교훈을 담고 있다. 베트남과 한국의 우정과 협력은 지속해서 발전하여 베트남에서 한국의 학습과 연구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문화를 속담을 통해 함께 학습한다면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이와 함께 한국과 베트남은 농업을 기반으로 발달하게 된 국가이기 때문에 "날씨 예측 속담" 주제로 선택하였다. 날씨에 대한 정보는 인간의 생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과 베트남 속담에서 날씨 예측 속담의 특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두 나라의 학자들이 보통 양국 관계를 비교하지 않고 따로 연구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날씨 예측과 관련된 속담을 비교 및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속담 사전 ①『새 국어 대사전』, ②『한국 속담 사전』, ③『새 우리말 큰 사전』, ④『정선 속담 풀이 사전』,⑤『합천농업기술 센터의 인터넷 날씨 속담 사전』의 다섯 개 사전과 베트남 사전 ⑥『베트남어 속담 사전』, ⑦『온라인 속담 사전』으로 총 7 개의 사전을 중심으로 속담 중에서 날씨 예측과 관련 속담만 뽑았다 (한국 속담: 327 개, 베트남 속담: 48 개). 그리고 비교 및 대조 방법도 이용된다. 한국어 날씨 속담의 표상적 특징과 형태적 특징이 밝히고 베트남 속담과 비교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시맨틱 분석법, 귀납법, 합성법 등을 이용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 날씨 예측 속담의 표상적 특징과 형태적 특징 및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결론을 내고자 한다. 이와 함께 학제 간 연구 방법도 사용되었다. 날씨 예측 속담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학제 간 접근 방식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문화적, 언어적, 지리적, 사회적 및 역사적 통찰력을 조합하여 한국과 베트남 사이에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형식상의 특징을 분석 시 속담의 길이, 음절 개수 및 나타나는 빈도를 분석을 통해 속담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간결성이라고 언급했다. 그다음에 “A 면 B”, “A 때 B”, “A 는 B 징조”, “A 면 명령형 B”, “A 면 B, A’ 면 B’”... 등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고 제시한다. 여기서는 A 가 조건 절이고 B 가 결과 절이다. 날씨 예측에 사용된 대상을 기준으로 표상의 특징을 분석할 때 수집된 날씨 예측 iii 관련 속담을 4 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자연 현상 (무지개, 구름, 바람, ..), 동물, 식물 및 기타 요소. 동물 그룹에서 가축, 날짐승, 양서류 및 곤충으로 구분하는 것과 같은 큰 그룹에서는 소규모 그룹으로 나눈다. 분석 순차는 우선 해당 날씨 현상과 관련된 한국 속담을 제시하여 설명 과정을 통해 독특한 표상 특징을 명확하게 묘사한다. 그런 다음 베트남 속담에서 해당 대상의 존재에 대해 언급하고 관련 속담을 인용하고 두 언어 간의 다양성을 평가하고 비교한다. 본 논문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날씨 예측 속담을 이해하고 형식과 표상을 묘사를 통해 속담의 독특한 특징을 밝히기 위해 목적이다. 한국과 베트남은 위도가 달라서 기본적인 기후 환경도 다르다. 그러므로 양국의 날씨 예측 속담이 표상이나 형식상에 대한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적지 않다. 이와 함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에 대해 더 쉽게 접근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베트남어 날씨 예측 속담에 대해 비교 견해를 가지고 양국 속담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는 데 많은 이바지를 한다. iv TÓM TẮT LUẬN VĂN Nghiên cứu về đặc điểm của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trong tiếng Hàn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Tục ngữ là một di sản văn hóa ngôn ngữ và là phương tiện quan trọng để phản ánh những nét đặc sắc văn hóa của các quốc gia dân tộc. Mặc dù không thể xác định được tục ngữ là do ai, khi nào và sáng tác như thế nào nhưng dù trực tiếp hay gián tiếp đều hàm chứa những bài học về phương thức sống và sinh hoạt của người dân. Quan hệ hữu nghị và hợp tác giữa Việt Nam và Hàn Quốc ngày càng phát triển dẫn đến nhu cầu xã hội về học tập và nghiên cứu Hàn Quốc tại Việt Nam ngày càng tăng. Người học tiếng Hàn sẽ hiểu hơn về cách suy nghĩ và văn hóa của người Hàn Quốc cũng như giao tiếp hiệu quả hơn thông qua việc tìm hiểu các câu tục ngữ. Mặc dù thông tin về thời tiết liên quan mật thiết đến sinh kế của con người nhưng không những không có nhiều nghiên cứu về đặc điểm của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mà học giả hai quốc gia thường nghiên cứu riêng rẽ, không có sự so sánh và liên hệ. Cùng với đó, Hàn Quốc và Việt Nam đều là những quốc gia phát triển dựa trên nền tảng nông nghiệp nên bài luận văn này đã lựa chọn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làm chủ đề nghiên cứu. Bài nghiên cứu sử dụng năm cuốn từ điển tục ngữ tiếng Hàn là ① 『Đại từ điển tiếng Hàn mới』, ② 『Từ điển tục ngữ tiếng Hàn』, ③ 『Từ điển tiếng Hàn mới』, ④ 『Từ điển giải nghĩa tục ngữ tuyển chọn』, ⑤ 『Từ điển tục ngữ online của trung tâm kỹ thuật nông nghiệp Hapcheon』 và hai cuốn từ điển tục ngữ tiếng Việt là ⑥ 『Từ điển tục ngữ Việt Nam』 và ⑦ 『Từ điển tục ngữ online』 làm cứ liệu tham khảo chính và chọn lọc, trích xuất được 327 câu tục ngữ tiếng Hàn và 48 câu tục ngữ tiếng Việt liên quan đến dự báo thời tiết. Phương pháp so sánh, đối chiếu được sử dụng thông qua việc khắc họa những đặc trưng về mặt hình thức và nội dung biểu hiện của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tiếng Hàn để so sánh với tục ngữ Việt Nam. Ngoài ra, phương pháp phân tích, quy nạp và tổng hợp cũng được sử dụng để đưa ra các kết luận cần thiết trong quá trình nghiên cứu. Cùng với đó, không thể không nhắc tới phương pháp nghiên cứu liên ngành. Phương pháp này có những ưu điểm nổi bật giúp phân tích sâu và toàn diện về các câu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Sự kết hợp của những hiểu biết về văn hóa, ngôn ngữ, địa lý, xã hội và lịch sử có thể sử dụng để lý giải lý do tồn tại sự giống và khác nhau giữa kho tàng tục ngữ của hai quốc gia. Khi phân tích các đặc trưng về mặt hình thức biểu hiện, bài nghiên cứu đã đề cập đến đặc điểm tiêu biểu nhất của tục ngữ chính là tính ngắn gọn, súc tích thông qua việc xây dựng các bảng biểu phân tích độ dài, số lượng âm tiết và biên độ xuất hiện của các câu tục ngữ. Sau đó phân tích và trình bày các cấu trúc điển hình như “Nếu A thì B”, “Khi A thì B”, “A là dấu hiệu của B”, “Nếu A thì mệnh lệnh B”, “Khi A thì B, khi A’ thì B’” với A là mệnh đề điều kiện còn B là mệnh là kết quả. v Khi phân tích các đặc trưng về mặt nội dung biểu thị, căn cứ vào đối tượng được sử dụng để dự báo thời tiết, bài nghiên cứu chia các câu tục ngữ liên quan đến dự báo thời tiết thu thập được phân thành bốn nhóm: các hiện tượng tự nhiên (cầu vồng, mây, gió, ..), động vật, thực vật và các yếu tố khác. Trong các nhóm lớn lại chia thành các nhóm nhỏ như trong nhóm dự báo thời tiết thông qua động vật bao gồm gia súc, động vật có cánh, động vật lưỡng cư và côn trùng. Bài nghiên cứu phân tích theo trình tự đưa ra các câu tục ngữ tiếng Hàn liên quan đến cùng một đối tượng, giải nghĩa và làm rõ những nét đặc trưng nổi bật. Sau đó đưa ra nhận xét về sự tồn tại của đối tượng này trong tục ngữ tiếng Việt, trích dẫn các câu tục ngữ liên quan cũng như đánh giá và so sánh sự đa dạng giữa hai ngôn ngữ. Mục đích nghiên cứu của bài nghiên cứu này là làm khắc họa rõ những nét độc đáo về mặt nội dung và hình thức biểu hiện của các câu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Do Hàn Quốc và Việt Nam có vị trí địa lý khác nhau nên môi trường khí hậu cơ bản cũng khác nhau. Chính vì vậy, các câu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của hai nước tuy có sự tương đồng về cách thức biểu hiện và nội dung nhưng cũng tồn tại không ít sự khác biệt. Nghiên cứu này không chỉ giúp người học tiếng Hàn tiếp cận và hiểu văn hóa Hàn Quốc dễ dàng hơn mà còn góp phần không nhỏ trong việc xác định và đưa ra những điểm giống và khác nhau giữa tục ngữ của hai nước bằng cách so sánh các câu tục ngữ dự báo thời tiết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vi 목차 서약문 ................................................................................................................... i 감사의 말씀 ................................................................................................................... ii 국문 요약 ..................................................................................................................... iii TÓM TẮT LUẬN VĂN .................................................................................................. v 목차 ............................................................................................................................. iv 표목차 .......................................................................................................................... vi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 목적 ................................................................................................................ 4 1.3 연구 임무 ................................................................................................................ 4 1.4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 4 1.5 논문 구성 ................................................................................................................ 6 1.6 선행 연구 검토 .......................................................................................................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 9 2.1 한국어와 베트남어 속담 정의 ................................................................................. 9 2.1.1 한국어 속담 정의 .................................................................................................. 9 2.1.2 베트남어 속담 정의 ............................................................................................ 10 2.2 날씨 예측 속담 정의 .............................................................................................. 12 2.2.1 날씨 개념 ........................................................................................................... 12 2.2.2 날씨 예측 속담 개념 .......................................................................................... 13 제 3 장. 형식상 날씨 예측 속담의 특징 ....................................................................... 15 3.1 간결성................................................................................................................... 15 3.2 구조적 특징........................................................................................................... 19 제 4 장. 표상상 날씨 예측 속담의 특징 ....................................................................... 22 4.1 자연현상 ............................................................................................................... 22 4.2 동물 ...................................................................................................................... 34 4.3 식물 ...................................................................................................................... 40 4.4 기타 ...................................................................................................................... 43 제 5 장. 베트남어와 비교 .......................................................................................... 44 iv 5.1 공통점................................................................................................................... 44 5.2 차이점................................................................................................................... 47 제 6 장. 결론 ................................................................................................................ 50 참고문헌...................................................................................................................... 54 부록 ............................................................................................................................... I v 표목차 표 1.1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속담 사전 일람표 ............................................................. 5 표 1.2 수집된 속담의 대상 분류표 ................................................................................. 5 표 3.1 한국어 속담의 음절 개수 및 빈도수 통계표 ........................................................ 16 표 3.2 베트남어 속담의 단어 수 및 빈도수 통계표 ........................................................ 18 표 5.1 날씨 예측 속담의 대상 분류표 ........................................................................... 46 표 5.2 개수 기준으로 한국 속담과 베트남 속담 비교 .................................................... 48 vi 제 1 장.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언어는 하나의 문화유산이며 인간의 생각, 감정, 요구 등을 전달하는데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서 각 민족의 언어는 그 사회 구성원의 영향을 받아 다양성을 띠게 되므로 그 나름대로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체계 또한 다르다. 그러므로 한 민족의 언어는 다른 민족의 언어와 다를 수밖에 없다. 속담은 하나의 언어적 문화유산으로 자국의 문화 특징을 반영하는 독특한 표현으로 새로운 의미 생산의 중요한 수단이 된다. 속담은 누가, 언제, 어떻게 만들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내용을 보면 직접적, 간접적으로 그 민족의 삶의 방식에 대한 교훈을 담고 있다. 또한 속담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끄는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접근 방식에 의해 분류하자면 문학, 사회학, 역사학, 언어학, 지리학, 철학,.. 등 많은 과학의 관점에 비추어졌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정적 (텍스트)과 동적 (실제 사용)의 두 가지 형태로 속담과 속담의 의미를 연구한다. 오랫동안 속담은 민중의 지혜가 응집되어 대대손손 전래되는 경험론적 결과물로 인식되어있다. 인간사의 모든 문제에 해답을 제시하고 도덕적 교훈을 주며 미래를 예측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지침이자 해결책인 속담은 가늠하기 힘든 세월 동안의 검증을 거쳤으며, 속담을 통해 인간은 고난을 극복하고 소망을 실현하기 위한 조언을 구해왔다. 이렇듯 민중이 속담을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것은 이를 진리로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는 것을 뜻한다. 그렇다고 해서 속담이 모두 절대적인 진리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속담은 간결하고 단축한 형태로 국민들이 말하는 단어이다. 속담은 자연 세계, 사회 및 인간을 이해함에 사람의 지식을 표현한다. 고르키 (1965)는 "속담은 전체 삶의 경험, 사회적 경험, 국민들의 역사를 완벽하게 반영하며, 또한 속담은 삶의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표현한다” 1 . 속담은 끊임없이 발전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없어진 속담도 있지만, 대부분의 속담은 사람들의 기억과 말에서 매우 긴 수명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 세대의 조상들이 만들어 내고 보존한 수천 개의 속담의 귀중한 자산을 물려받았다. 1992 년 베트남과 한국이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 한 이래로 양국의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는 모든 면에서 끊임없이 발전해 왔다. 한국의 학습과 연구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교 한국학부 응웬 티 프엉 1 고르키 (1965), 『고르키의 문학 논의』, 문학 출판부. 1 마이 (Nguyễn Thị Phương Mai) 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전국에 한국(어) 학과 혹은 학부가 개설된 전문대학 이상의 대학 수는 23 개이며, 총 학생 수는 약 1 만 명이다. 대표적인 대학교는 800 명의 한국학과 학생이 있는 하노이 국립 외국어 대학교를 언급할 수 있다. 호찌민 외국어 정보 기술 대학교는 정규과정, 비정규과정 모두 합쳐 한국학과 학생 수가 1200 명 이상으로 베트남 전국에서 가장 크다. 외국어 학습은 언어뿐 아니라 언어를 통한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문화를 한국어를 통해 함께 학습한다면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관용어 및 속담을 활용한 문화 교육의 연구 방안이 학회지와 논문을 통하여 발표되고 있지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속담은 일상에서 생생히 살아 전해지는 교훈이자 규범이며, 언어학적으로는 특정 공동체의 언어적 특성을 담고 있는 자산으로 간주된다. 다른 나라의 언어를 습득할 때 그 나라의 언어적인 요소의 학습뿐만 아니라 그 민족이 지닌 행동양식, 습관, 사고방식 혹은 가치관 등 문화적인 요소의 학습도 중요한 점이다. 오랜 세월 동안 민중들 사이에서 사용되고 전해져 내려온 속담에는 그 민족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인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어서 언어 학습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문화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속담은 사회 정서 생활에서 사람들을 다루는 방법에 대한 매우 귀중한 교훈이다. 속담은 또한 국토, 국가, 자연, 노동 및 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대한 자손 조언을 포함한다. 속담은 외모에 대한 독창적인 관찰, 인간의 행동으로 내면의 심리적 특성과 성격을 알 수 있다. 속담은 또한 회복력, 삶의 성공을 가져오는 사람의 의지를 반영한다. 속담의 내용은 심오하고 구체적이며 명시 적이며 인간의 심리적 삶에 가깝고 심리학에 매우 효과적으로 부착되고 설명된다. 가족 속담, 신체 속담, 농업 속담 등 여러 유형의 속담이 있지만 한국은 농업을 기반으로 발달하게 된 국가이기 때문에 "날씨 예측 속담"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날씨와 기후는 항상 인간의 삶과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많은 비과학적인 인간 활동은 지구 기후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열대성 저기압, 홍수 및 가뭄과 같은 극한의 날씨와 기후 현상을 유발한다. 날씨에 대한 정보는 인간의 생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 예나 지금이나 관심이 매우 높다고 하겠다. 현재도 날씨 정보를 잘 활용하는 기업이 성공하고 있음을 볼 때 1 년 농사가 오롯이 날씨와 관련 있던 옛날 사람들에게 날씨 정보는 무엇보다 중요했음을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2 한국은 토지자원과 수자원이 부족한 국가이다. OECD 회원국 중 인구밀도가 가장 크고, 국민 1 인당 농경지 면적은 0.03ha (2013 년 기준)으로 가장 작은 수준이다. 2015 년 기준 전체 농지면적은 170 만 ha 였으며, 이는 전체 국토면적의 17%를 차지한다 2 . 산업발전과 도시개발로 인해 농지면적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고대부터 인간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살았다. 그 조화 생활은 사람들이 자연을 더 잘 인식하여 자신의 삶을 적응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것은 날씨 예측, 재배 경험, 축산 경험, 생산 개발에 대한 이해이다. 자연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바람, 비, 천둥, 번개... 의 이미지는 종종 한국 속담과 베트남 속담에 들어가 사람들이 자연 세계에 대한 관념을 표현한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한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겨울은 보통 길고 춥고 건조하지만 여름은 짧고 덥다. 봄과 가을은 즐겁지만 짧다. 한국은 농업 생산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비가 있다. 대부분의 년은 1,000mm 이상의 강우량을 가지고 있다. 심각한 가뭄은 약 8 년마다 발생하며 특히 쌀 생산의 남서부 지역에서 발생한다. 폭풍은 종종 늦여름, 특히 8 월에 한국에 상륙하여 집중 호우를 일으켰다. 날씨는 한국의 모든 경제적 측면과 삶, 특히 농산물, 해산물 및 관광업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농업 활동은 날씨와 기후 조건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농민들은 농업 생산을 적시에 조정하기 위해 매일 기상 현상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자연현상 (바람, 비, 번개, 달, 별과 같은)과 일부 동물과 식물의 생물학적 특성을 관찰함으로써 사람들은 날씨에 대한 판단할 수가 있다. 아마도 자연이 농업 생산과 삶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은 비, 햇빛, 폭풍, 홍수일 것 같다. 그러므로 한국 속담이나 베트남 속담에 날씨 예측 속담의 수가 많다: 하늬바람이 계속되면 맑을 징조; 해륙풍이 방향을 바꾸면 날씨가 급변한다; 여름은 남쪽이, 가을은 서쪽이 밝으면 맑음; 밤이슬 많으면 맑음; 종달새, 꾀꼬리의 울음이 늦으면 흉년; “Ếch kêu uôm uôm, ao chuôm đầy nước” (개구리가 윙윙 부르면 연못에는 물이 가득한다); “Mỡ gà thì gió, mỡ chó thì mưa”( 닭고기 지방과 같은 노란 구름은 바람이 강해지고 개 지방과 같은 분홍빛 구름은 비가 내릴 징조) ; “Kiến cánh vỡ tổ bay ra, bão táp, mưa sa tới gần” (둥지에서 터지고 날개 개미가 날면 폭풍과 비가 다가온다),… 인간은 항상 주변에서 발생하는 자연의 변화를 관찰해왔는데, 이러한 변화 중 일부는 주기적으로 반복되고는 했다. 대를 이어 행해진 이러한 관찰의 결과로 빈 번한 날씨 변화를 설명하거나 경고하기 위한 다양한 속담이나 속언이 발생하였다. 2 인터넷 사이즈 http://www.agrinet.co.kr/news/를 참고하였다. 3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에서 기상 정보의 간접적인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온 날씨 예측 속담의 유효성에 대해 고찰하고, 또한 그 사회적 표상이 특정 언어 공동 체의 인지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베트남에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속담에 대한 교육은 베트남 학생들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국 문화와 생활 방식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한다. 이와 함께 농업 생산은 한국과 베트남의 경제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하지만, 한국과 베트남에서 날씨 예측 속담 주제로 연구하는 연구 논문은 거의 없다. 이것은 바로 본 연구 주제의 필요성이다. 1.2 연구 목적 본 논문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날씨 예측 속담을 이해하고 표상 및 형식을 묘사를 통해 속담의 독특한 특징에 빛을 비추기 위해 목적이다. 이와 함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에 대해 더 쉽게 접근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베트남어 날씨 예측 속담에 대해 비교 견해를 가지고 양국 속담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한다. 1.3 연구 임무 인간은 항상 주변에서 발생하는 자연의 변화를 관찰해왔는데, 이러한 변화 중 일부는 주기적으로 반복되고는 했다. 대를 이어 행해진 이러한 관찰의 결과로 빈 번한 날씨 변화를 설명하거나 경고하기 위한 다양한 속담이나 속언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에서 기상 정보의 간접적인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온 날씨 예측 속담의 유효성에 대해 고찰하고, 또한 그 사회적 표상이 특정 언어 공동 체의 인지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아래 세 가지 연구 임무를 포함한다: 첫째, 학습자가 날씨 예측 속담이 무엇인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날씨 예측 속담의 정의를 제공한다. 둘째, 날씨 예측 속담의 표상상, 형식상의 특징을 찾아낸다. 셋째, 한국과 베트남의 날씨 예측 속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낸다. 1.4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의 선택은 연구의 목적과 주제에 기초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 베트남 속담 중에서 날씨 예측과 관련된 속담을 전반적으로 표상 및 형식상으로 분석하여 살펴본다. 4 속담에서 볼 수 있는 양국의 문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 하고자 한다. 먼저 속담의 정의, 속담의 기능과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한국 – 베트남 속담의 용례는 아래의 7 개의 한국 – 베트남 양국의 속담사전을 기본 자료로 하였다. 표 1.1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속담 사전 일람표 순번 속담 사전 ① 『새 국어 대사전』, 이기문, 1986 년 한국 ② 『한국 속담 사전』, 최근학, 1990 년 속담 사전 ③ 『새 우리말 큰 사전』, 신기철, 신용철, 1975 년 ④ 『정선 속담 풀이 사전』, 한국고전신서편찬회, 1991 년 ⑤ 『합천농업기술 센터의 인터넷 날씨 속담 사전』 ⑥ 『베트남어 속담 사전』, 응웬 란, 2015 년 베트남 속담 『온라인 속담 사전』, 응웬 비엣 코아 ⑦ 본 연구에서는 위에 표에 나타낸 하국 속담 사전 ①『새 국어 대사전』, ②『한국 속담 사전』, ③『새 우리말 큰 사전』, ④『정선 속담 풀이 사전』,⑤『합천농업기술 센터의 인터넷 날씨 속담 사전』의 다섯 개 사전과 베트남 사전 ⑥『베트남어 속담 사전』, ⑦『온라인 속담 사전』으로 총 7 개의 사전을 중심으로 속담 중에서 날씨 예측과 관련 속담만 뽑았다. 위 사전을 선택한 이유는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면서도 속담 사전으로서 지명도가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위 사전에 대한 통계 및 분석을 거쳐 날씨 예측과 관련된 한국 속담 327 개와 베트남 속담 48 개를 수집했다. 한국의 날씨 예측 속담의 수는 베트남보다 더 있는 데에 설명하기에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중 하나는 두 나라의 속담 개념의 차이 때문이다. 개념이 달라서 연구 범위도 다라진다. 이 내용은 속담 개념 부분에서 더 명확하게 언급 할 것이다. 날씨 예측하기 위해 사용 된 대상을 바탕으로이 375 개의 속담을 자연 현상 (무지개, 구름, 바람, ..), 동물, 식물, 그리고 기타의 네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표 1.2 수집된 속담의 대상 분류표 날씨 예측 대상 한국 속담 개수 베트남 속담 개수 191 33 자연현상 57 13 동물 43 2 식물 36 0 기타 327 48 총 위에 표 2 과 같은 날씨 속담 대상으로 분류한 후에 각각의 표상상 및 형식상 특징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5 그리고 비교 및 대조 방법도 이용된다. 한국어 날씨 속담의 표상적 특징과 형태적 특징이 밝히고 베트남 속담과 비교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시맨틱 분석법, 귀납법, 합성법 등을 이용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 날씨 예측 속담의 표상적 특징과 형태적 특징 및 연구 과정 에서 필요한 결론을 내고자 한다. 이와 함께 학제 간 연구 3 방법도 사용되었다. 날씨 예측 속담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 인 이해를 얻기 위해 학제 간 접근 방식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문화적, 언어적, 지리적, 사회적 및 역사적 통찰력을 조합하여 한국과 베트남 사이에 유사점과 차이점이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연구 범위 본고에서 연고하고자 하는 대상은 날씨 예측 관련된 속담이다. 한국과 베트남은 모두 속담의 수량이 많아서 연구의 범위를 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연구 방법 부분에서 언급한 것에 대로 한국어 속담은 ①『새 국어 대사전』, ②『한국 속담 사전』, ③『새 우리말 큰 사전』, ④『정선 속담 풀이 사전』,⑤『합천농업기술 센터의 인터넷 날씨 속담 사전』으로 발췌했으며 한국어 날씨 예측과 관련된 속담은 327 개이다. 베트남어 속담은 주로 Nguyễn Lân (응웬 란)의 ⑥『베트남어 속담 사전』과 Nguyễn Viết Khoa (응웬 비엣 코아)의 ⑦『온라인 속담 사전』을 기본으로 참고하고 선행연구에서 발췌한 속담을 참고자료로 하였으며 베트남어 날씨 예측과 관련된 속담은 48 개이다. 1.5 논문 구성 본 논문은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한국 속담의 표상면 과 형식면에서 분석하여 베트남어와 비교할 것이다. 제 1 장 서론에서 연구의 필요성, 연구 목적과 임무, 연구 방법 및 연구범위 그리고 선행연구 검토를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의 내용을 요약을 통해 본 논문의 새로운 성이 부각된다. 제 2 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다. 사전 및 학문별 한국 – 베트남의 속담의 정의를 비교 분석할 것이다. 한국 - 베트남 간 속담의 정의에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본 연구 논문에서 사용되는 속담의 범위도 다르다. 속담, 날씨 예측 개념을 고찰한 후에 날씨 예측 속담의 정의를이끌어낼 것이다. 3 학제간 연구 용어는 "inter"와 "disciplinarity"라는 두 단어로 구성된 용어이다. 여기서 "인터"는 사이 또는 연관을 의미하며 " disciplinarity"는 과목 또는 학문이다. 요약하면 " inter – disciplinarity"은 각 과목 및 학문의 조합을 의미한다. 6 제 3 장에서는 날씨 예측 속담의 형식상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 형식상의 특징을 분석 시 속담의 길이, 음절 개수 및 나타나는 빈도를 분석을 통해 속담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간결성이라고 언급했다. 그다음에 “A 면 B”, “A 때 B”, “A 는 B 징조”, “A 면 명령형 B”, “A 면 B, A’ 면 B’”... 등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고 제시한다. 제 4 장에서는 날씨 예측 속담의 표상상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겠다. 날씨 예측 대상 기준으로 자연현상, 동물, 식물 및 기트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눌 것이다. 그리고 각 그룹별로 표상상 한국과 베트남 날씨 예측 속담의 특징을 분석하여 부각한다. 제 5 장에서는 그동안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과 베트남의 날씨 예측 속담을 여러 면에서 비교한다. 이 비교를 통해 베트남과 한국의 표상면 및 형식면으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췌하여 그러한 차이점이 존재하는 이유에 대한 간단한 설명도 한다. 제 6 장은 결론 부분이다. 해당 부분에서 위에 분석했던 내요을 총제적으로 정리하여 결론을 맺고자 한다. 1.6 선행 연구 검토 한국에서 이미 조선 후기에서부터 속담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한국 속담을 외국어 속담과 비교한 연구는 1970 년대 이후에 시작되었다며 속담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있어 왔다. 그 동안의 한국 속담 연구에 관한 성과를 검토하고 살펴보기로 한다. 박애양 (2016)은 『한중 날씨 관련 속담에 나타난 특징 비교』 에서 한국과 중국 날씨 관련 속담의 내용 분류 및 표현 특징을 분석을 통하여 한국 날씨 속담과 중국 날씨 속담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비교하였다. 한중 날씨 관련 속담의 내용을 분류 시 6 개로 구분되었다: (1) 비; (2) 눈, 서리 ; (3) 바람, 폭풍; (4) 맑음, 흐림; (5) 가뭄, 홍수; (6) 기온. 한중 날씨 관련 속담의 표현 특징을 분석 시 문장의 형식과 표현된 내용을 근거하여 4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고 분석했다 : (1) 동형 동의; (2) 이형 동의; (3) 동형 이의; (4) 이형 이의. 조혜진 (2014)은 『한국어와 스페인어의 날씨 예측 속담 비교 연구』 를 연구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날씨 속담의 구조적 특징과 의미 구성을 분석하기 전에 한국 및 스페인 각각 사전적과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주로 A 가 조건절로 B 가 결과 절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다. 또한 A 이면 B 또는 B’ 나 A 이면 B 또는 B 하지 않다는 구조도 있다. 한편 No A No B 명령문의 구조로 경고하는 형태의 속담도 있다. 날씨 예측 속담의 표상에 대해 자연현상, 동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임개적 (2019)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비 관련 속담 비교 연구』 7 주제로 연구 진행하였다. 한국과 중국 “비”와 관련된 속담을 분류하고 분석하여 양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두 나라의 비 관련 속담을 비교 시 비가 내리는 시기, 비의 예측 방법 및 비가 그칠 징조 그리고 비가 미치는 영향으로 비교하였다. 게다가 본 연구는 문화적으로도 비교 진행했다 (유사점과 차이점). 정홍영 (2012)의 『한•중 계절 관련 속담 비교연구』 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계절 관련 속담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양국 속담의 표현 형식, 의미적 특징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한중 양국 속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속담 속에 내포된 양국 문화의 차이점도 밝혔다. 베트남 연구의 경우 날씨 예측 속담 주제에 대한 연구는 없지만 다른 분야의 속담에 대한 연구가 많다. 『베트남 속담』 (1975) 작품에서 Chu Xuân Diện (쭈 쑤언 디엔)은 베트남 속담 주제로 앞에 간 연구자들의 주요 성과를 소개했다. 그들은 사회 학적, 인식 론적, 문학적 속담 연구이다. 저자에 따르면 사회학 측면에서 베트남 속담의 연구와 활용은 종종 두 가지 방향으로 수행된다. 첫번째 방향에서 속담은 주요 연구 대상이 되지만 두번째 방향에서는 속담이 연구를 지원하는 자료가 된다. Hoàng Minh Đạo (황 민 다오)는 2006 년 하노이 민속 잡지 No. 1 에 실린『문화적 관점에서 속담에 접근하기』 라는 기사를 통해 여러 측면에서 다양한 각도에서 속담의 가치에 대한 연구를 전반적으로 소개했다. 그러나 저자는 속담 연구 각도를 통해 몇 명의 전형적인 저자를 나열만 했다. 외국 속담의 대조 연구는 탄 투이 밀린 (2012)는『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안면부 관련 속담 대조 연구』 이 있다. 작가가 귀, 눈, 머리, 얼굴, 입, 입술, 코, 혀들이 들어 있는 안면부 관련한 속담에 대한 한국과 베트남 대조 연구하였다. 양국 속담을 분리하고 나서 각 항목별로 양국 속담 서로 대조한다. 이상은 기존의 많은 연구자들이 여러 분야에서 진행한 비교연구들이다. 한국 속담만을 연구하는 연구의 경우, 연구 대상은 날씨 예측 속담이라는 구체적인 대상이 아닌 날씨 관련 분야에만 연구했다. 그리고 한국 속담과 다른 나라를 비교 연구인 경우 한국과 중국, 스페인만 비교하고 베트남과 비교한 연구가 없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날씨 예측 관련된 속담을 비교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베트남과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두 나라의 날씨 예측 속담에 대한 총괄적인 지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사점 및 상이점도 인식함에 도움이 된다. 8 제 2 장. 이론적 배경 2.1 한국어와 베트남어 속담 정의 언어라는 것은 한 민족의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문화와 언어는 서로 영향을 미친다. 속담은 한 민족의 가치관, 인생관을 표현할 수 있다. 한국 속담과 베트남 속담은 다 민간 생활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어서 양국의 문화를 표현할 수 있다. 한국과 베트남은 오래전부터 같은 한자문화권의 영향으로 인하여 돈독한 동반자 관계를 이어왔고 속담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서도 서로 깊은 영향을 끼쳐왔다. 2.1.1 한국어 속담 정의 * 사전적 정의 <국어사전> (2018)에 의하면 속담은 “옛적부터 전해 오는 민간의 격언”이라 하고 다시 격언을 찾아보면 “속담 등과 같이 사리에 꼭 들어맞아 교훈이 될 만한 짧은 말 토막”으로 정의되어있다. 속담에 대해 위의 설명은 큰 세 가지 요소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속담이란 관습 성과 통속성, 교훈성을 지닌 말 토막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4 가. 옛적부터 전해 오는 (관습성, 전통성) 나. 민간의 (통속성, 대중성) 다. 격언 (교훈성, 진리성)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이다. 5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서는 속담을 교훈이나 풍자를 하기 위해 어떤 사실을 비유의 방법으로 서술하는 간결한 관용어구로서, 교화의 기능과 풍자의 기능을 지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6 <네이버 백과사전>에서는 옛날부터 말로 전해 내려온 풍자•비판•교훈 등을 간직한 짧은 구절로서, 기능에 따라서 비판적•교훈적•경험적•유희적 속담으로 나눌 수 있는데, 비판적 속담은 상대편의 아픈 데를 찔러 기선 (機先)을 제압하는 데 쓰고, 교훈적 속담은 격언이나 금언 (金言)과 비슷하며, 경험적 속담은 오랜 경험 끝에 체득한 지식을 알기 쉬운 말로 정리한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사전적 정의를 종합하면,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오는 쉬운 격언으로서 비판적, 교훈 (교화)적, 경험적, 풍자 (유희)적 기능이나 요소를 지닌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7 4 토박이 사전 편찬실 (2018), 『국어사전』, 보리 출판사. 인터넷 사이즈 https://stdict.korean.go.kr/search/를 참고하였다. 6 인터넷 사이즈 https://encykorea.aks.ac.kr/를 참고하였다. 7 인터넷 사이즈 https://dict.naver.com/를 참조하였다. 5 9
- Xem thêm -

Tài liệu liên qu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