Đăng ký Đăng nhập
Trang chủ 한 베 위치어 대조 연구(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Tài liệu 한 베 위치어 대조 연구(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PDF
71
9
119

Mô tả: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 NGUYỄN THỊ TUYẾT MAI 한·베 상하 위치어 대조 연구 (인지언어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TỪ CHỈ VỊ TRÍ TRÊN DƯỚI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HEO QUAN ĐIỂM CỦA NGÔN NGỮ HỌC TRI NHẬN)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 언어학 전공번호: 8220210.01 하노이 - 2021 년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 NGUYỄN THỊ TUYẾT MAI 한·베 상하 위치어 대조 연구 (인지언어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TỪ CHỈ VỊ TRÍ TRÊN DƯỚI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HEO QUAN ĐIỂM CỦA NGÔN NGỮ HỌC TRI NHẬN)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 언어학 전공번호: 8220210.01 지도 교수: Đỗ Phương Thùy 하노이 - 2021 년 서약서 상기 본인은 하노이국립 외국어대학 준수하며 특히 학위논문을 작성함에 있어 대학원 학생으로서 연구 윤리를 다음과 같은 기본원칙을 준수할 것을 서약합니다. 1) 본인은 상기 연구를 정직하고 진실하게 수행하겠습니다. 2) 지도교수의 성실한 지도를 받아 정직하고 엄정한 연구를 수행하여 학위논문을 작성합니다. 3)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한 연구의 제안, 연구의 수행, 연구결과의 보고 및 발표 등에서 위조·변조·표절 등 학문적 진실성을 훼손하는 어떤 연구부정행위도 하지 않습니다. 4) 논문 심사 결과 표절 등의 사유가 확인될 시에는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집니다. 5) 본인은 제 (3)의 서약사항을 준수하기 위하여 공인된 참고문헌 인용 검사를 철저히 거칠 것이며 연구 협력처의 기준 인용률을 준수하겠습니다. 6) 본인이 본 서약을 위반하는 경우, 법적 제재를 포함하여 어떠한 불이익조치도 감수 할 것입니다. 7) 하노이국립 외국어대학 연구원이 참고·연구를 목적으로 본 논문을 사용하는 것을 동의합니다. 2021년 1월 서약자 Nguyễn Thị Tuyết Mai (인) 하노이국립 외국어대학 총장 귀하 i 감사의 글 “영원히 살 것처럼 배우고, 내일 죽을 것처럼 살라”는 M. 토케이어 저서의 제목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글귀이며 삶의 지표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나는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 하나로 대학원에 입학하여 열심히 공부하였습니다. 이제 그 결과가 결실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맺어서 너무도 뜻 깊고 기쁘기가 한량없습니다. 이 논문이 나오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먼저 제 논문지도를 맡아주신 Do Phuong Thuy 교수님께 말로 형언할 수 없는 감사를 드립니다. 연구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던 저를 교수님께서는 연구 방법, 연구 내용 등 많은 것들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실수가 있어도 넓은 마음으로 받아주시고 연구가로서의 길을 가르쳐주신 덕분에 제대로 된 즐거운 연구 활동을 할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논문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항상 관심과 격려로 지도해 주시며 부족한 저를 믿어주셔서 감사를 드립니다. 용기를 북돋우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해 주시던 교수님이 계셨기에 어려움도 잘 극복할 수 있었다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지난 시간이 돌아켜보면 모두 값진 시간들이었고 그 시간들이 있었기 지금 이 순간이 있다고 생각하여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교수님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제가 있을 수 없었습니다. 앞으로 교수님 앞에 부끄럽지 않은 제자가 되기 위해 더욱 더 노력할 것입니다. 또한, 다른 교수님께서도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바쁘신 가운데에도 좋은 조언을 해 주시고 본 논문의 주체를 선정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추천해 주신 Lam Quang Dong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석사 학위논문을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항상 성심성의껏 지도해 주시고 많은 조언을 해주신 장혜영 교수님과 고혜진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항상 저를 믿어주시고 묵묵히 응원해 주시는 사랑하는 남편과 부모님께 감사드립니다. 제멋대로인 딸인데 항상 이해해 주시고 믿어 주셔서 제가 여기까지 할 수 있었고, 한 발짝 더 나아가겠다는 결심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잘 하여서 부모님께서 해주신 은혜에 보답할 수 있는 자랑스러운 딸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제 평생 동반자, 하이 씨에게도 감사를 드립니다. 항상 변함없는 마음으로 같은 자리를 지켜 주셔서 제가 마음 편히 연구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하고 사랑합니다. ii 이외에도 여기에 미처 적지 못한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이 있어 제가 있었고, 저도 여러분께 힘이 될 수 있는 존재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2021년 1월 마이 올림 iii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상하 위치어의 의미를 대조하며 의미 차이가 생기는 원인에 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인간의 인지과정 상하 위치어의 공간의미와 확장의미에 대한 양상을 밝히고 두 언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차이가 일어나는 원인을 살펴보고자 하고, 이를 통해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습득하는 데에 무슨 도움을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제시한 다음 선행 연구 논의를 통해 연구 방법과 대상, 연구 범위를 살펴본다. 2장에서는 기본적인 의미 대조 연구를 하기 위하여 인지언어학을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고자 한다. 탄도체, 지표, 참조틀과 시점에 대한 위치 개념을 분석하고, 의미 확장 양상을 밝히는 데에 필요한 인지언어학의 의미 분석 방법론 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 „위/아래‟와 베트남어 „trên - dưới‟의 가장 기본적인 공간 의미로부터 해석하고자 한다. 용례를 통해 분석한 결과, 두 언어의 상하 위치어 단순히 공간 개념을 해석할 수 도 있고 „밑‟과 „아래‟의 차이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인지 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 4장에서는 한국어 „위/아래‟와 베트남어 „trên - dưới‟의 의미 확장의 양상,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인지언어학의 원리로 차이점이 일어나는 원인을 분명하게 밝히고자 한다. 즉 확장 의미는 시간 의미와 추상 의미로 나누어져 있고 다른 의미 양상에 따라 해당 인지 방식을 해석할 수 있다. 5장에서는 인지언어학 관점으로 한국어 „위/아래‟와 베트남어 „trên - dưới‟를 대상으로 공간 의미와 확장 의미를 분석한 다음 베트남 학습자들에게 이 반의어 쌍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6장에서는 인지언어학적 이론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위치어의 대조하며 의미 차이가 생기는 원인에 관해서도 기술했고 결론을 이끌어 냈다. iv 의미를 TÓM TẮT Luận văn này dựa trên quan điểm của ngôn ngữ học tri nhận để so sánh – đối chiếu từ chỉ vị trí trên – dưới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Cụ thể sẽ làm sáng tỏ về ý nghĩa không gian và ý nghĩa mở rộng của cặp từ trái nghĩa “trên – dưới” trong quá trình tri nhận của con người, đồng thời tìm hiểu sự giống nhau – khác nhau cũng như nguyên nhân của sự khác nhau giữa hai ngôn ngữ. Bên cạnh đó, nghiên cứu cũng chỉ ra đưa ra phương án giảng dạy và giải thích ý nghĩa cho người học Việt Nam dựa trên quan điểm của ngôn ngữ học tri nhận. Chương 1 trình bày về mục đích và tính cấp thiết của đề tài, thông qua các nghiên cứu trước đó, nghiên cứu đưa ra phạm vi nghiên cứu, phương pháp nghiên cứu và đối tượng nghiên cứu. Chương 2 phân tích phương pháp luận của ngôn ngữ học tri nhận để làm sáng tỏ các khái niệm liên quan tới vật được định vị, mốc định vị, khung tham chiếu và thời điểm tham chiếu, cũng như làm sáng tỏ các ý nghĩa mở rộng. Chương 3 tiến hành phân tích từ ý nghĩa căn bản – ý nghĩa không gian của cặp từ “trên – dưới”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Nghiên cứu này sẽ làm rõ khái niệm không gian đơn thuần của cặp từ chỉ vị trí “trên – dưới” thông qua việc phân tích các ví dụ và chỉ ra sự khác nhau giữa „밑‟ và „아래‟ trong phương thức tri nhận của người Hàn Quốc. Chương 4 phân tích cụ thể ý nghĩa mở rộng, điểm giống và khác nhau, cũng như nguyên nhân khác nhau của cặp từ “trên – dưới”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Nghiên cứu này nêu rõ ý nghĩa mở rộng bao gồm ý nghĩa thời gian và ý nghĩa trừu tượng, thông qua đó sẽ làm sang tỏ về cách tri nhận của con người. Chương 5 là chương ứng dụng dựa trên phân tích cặp từ trái nghĩa “trên – dưới” và lập giáo án giảng dạy giúp người học nhận thức được tốt hơn về cặp từ trái nghĩa này. Chương 6 đưa ra kết luận sau khi phân tích cụm từ trái nghĩa „trên – dưới‟ dựa trên quan điểm của ngôn ngữ học tri nhận. v 목차 서약서 ............................................................................................................................ i 감사의 글 ...................................................................................................................... ii 논 문 개 요.................................................................................................................. iv 그림 차례 .................................................................................................................... vii 표 차례 ....................................................................................................................... vii 제 1 장. 서론 .................................................................................................................1 1. 연구 목적과 필요성..................................................................................................1 2. 선행 연구 검토 ........................................................................................................2 3. 연구 방법과 대상 .....................................................................................................6 4. 연구 범위 .................................................................................................................7 5. 연구 구성 .................................................................................................................8 제 2 장. 이론적 배경....................................................................................................10 2.1.공간과 위치의 개념 ..............................................................................................10 2.2. 의미 확장 ............................................................................................................13 2.3. 인지언어학 방법론 ..............................................................................................14 제 3 장. 상하 위치어의 공간 의미 대조 .......................................................................17 3.1. ‘위’와 ‘trên’의 공간 의미 ....................................................................................17 3.2. ‘아래’와 베트남어의 ‘dưới’의 공간 의미 ..............................................................24 3.3. 공간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 .............................................................................29 3.4. 반의 구조 ............................................................................................................31 제 4 장. 상하 위치어의 확장 의미 대조 .......................................................................34 4.1. 시간 의미 ............................................................................................................34 4.2. 추상 의미 ............................................................................................................35 4.3. 확장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 .............................................................................40 4.4. 반의 구조 ............................................................................................................42 제 5 장.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하 위치어’ 교육 방안 ...............................45 5.1. ‘상하 위치어’ 학습 방안 ......................................................................................45 5.2. 상하 위치어 연습 유형........................................................................................52 제 6 장. 결론 ...............................................................................................................55 참고문헌......................................................................................................................58 vi 그림 차례 그림 2.1: 물리적, 인지적, 언어적 공간의 관계 ............................................................10 그림 2.2 : 요소 간의 관계표 ........................................................................................13 그림 3.1: „위‟와 베트남어의 „trên‟의 부분 관계 도식...................................................17 그림 3.2: „위‟와 베트남어 „trên‟의 A 도식 ...................................................................18 그림 3.3: „위‟와 베트남어 „trên‟‟의 B 도식 ...................................................................19 그림 3.4: „위‟와 베트남어 „trên‟의 C 도식 ....................................................................20 그림 3.5: „위‟와 베트남어 „trên‟의 도식 변화 경로 ......................................................20 그림 3.6: „위‟와 베트남어 „trên‟의 D 도식 ....................................................................23 그림 3.7: „위‟와 베트남어 „trên‟의 E 도식 ....................................................................24 그림 3.8: 부분 관계의 „아래‟와 베트남어 „dưới‟의 도식 .............................................25 그림 3.9: 관계에 따른 „아래‟와 베트남어의 „dưới‟ ......................................................26 표 차례 표 2.1: 공간의 구분 ...................................................................................................11 표 3.1 : ‘위’와 ‘trên’의 공간의미 대조 .......................................................................30 표 3.2 : ‘아래’, ‘밑’과 ‘dưới’의 공간의미 대조 ............................................................30 표 4.1: 시간 의미 대조 ..............................................................................................41 표 4.2: ‘위’와 ‘trên’의 추상 의미 대조 .......................................................................41 표 4.3: ‘아래’, ‘밑’과 ‘dưới’의의 추상 의미 대조 ........................................................41 표 5.1: ‘위- 아래’ 수업의 교안 (1 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46 표 5.2: ‘위- 아래’ 수업의 교안 (2 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48 vii 제 1 장. 서론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인간의 지각 범주 중에 공간 표현 언어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표현들이 한국어와 베트남어 위치어에 어떤 의미를 거쳐 분석하고 인지 언어학적 관점으로 의미를 어떻게 확장해 가는지에 파악하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인지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종합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민현식(1991)에서은 존재론 관점을 바탕으로 우리 세계는 인간, 사물, 시간과 공간의 네 기본 요소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인간은 공간 속에 일정한 자리를 잡고 시간의 흐름에 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간을 인지하지 않고 인간 존재만 지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범기혜 (2004:213)의 논의에 의하면 시간과 공간은 세계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며 인간의 모든 인식 체계의 바탕이라고 한다. 그리고 인간은 공간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관계를 인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언어생활에서는 공간 위치와 관련된 어휘들이 공간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고 인지, 추상, 추리에 대한 의미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런데 모국어가 아닌 한국어를 사용하는 외국인의 경우 외국어를 습득하기가 쉽지 않다. 지금까지 한국과 베트남에서는 공간어에 대한 연구는 많은데 각 나라의 공간어의 의미만 밝혀 왔기 때문에 두 나라 간의 공간어의 의미 대조를 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 사태이다. 따라서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두 나라의 공간어는 어떻게 분별할 수 있는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또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해야 할지가 쉽지는 않다. 한편 인간의 인지를 살펴볼 때 인간은 자신의 신체 기관을 기준점으로 공간을 지각하고 전통적인 경험을 통해 공간을 인식할 수 있으나 그 근본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모른다. 실제로 방향, 위치 등과 같은 대상은 공간 속에 존재하고 있는데 공간에 대해 말하자면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상은 „공간적 위치‟ 1 (1)라서 공간의 대표적인 대상은 바로 „위치‟이다. 그래서 인지 언어학 관점으로 형성된 공간적 위치어의 개념은 기본적인 개념과 추상적인 개념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공간적인 (1) 본고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작은따음표‘ ’를 사용하기로 한다. (2) 이수련(2015)의 논의는 ‘개념화’는 객관적,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행위자의 주관적, 개별적인 의미라는 정의한다. 1 표현은 문법상, 의미상으로 살펴볼 수 있어도 인간의 인지 작용에 있어서 인지 언어학의 중심이 되는 범주라고 볼 수 있다. 위의 이유로 본고는 „위 - 아래‟라는 반의어 쌍을 중심으로 공간적 위치어의 의미 유형, 의미 확장 양상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위의 반의어 쌍의 의미적 사이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도 함께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것으로 „공간 개념‟에 관련된 화자들의 인지 체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본고의 연구 결과가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어휘교수법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하기도 한다. 또한 우리가 알고 있는 „인지‟의 개념은 외부 세계로부터 정보를 인지할 수도 있고 그것을 유의미하게 처리하는 모든 능동적인 과정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언어는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경험을 축적해서 문화적 체득과 사고방식 속에 반영되어 있다. 즉 언어는 화자들의 문화와 사고방식을 비추는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의 공간 개념이 기본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공간과의 관계를 인지하고 개념화하는 것이라서 언어화된 공간 개념은 기본적인 언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위치어의 의미에 대한 대조 연구는 종종 있으나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위치어의 기본의미와 확장의미를 대조한 연구가 많지 않고, 두 나라의 화자들의 인지 차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황이다. 또한 한국어의 위치어에는 공간적 동사, 공간적 명사, 공간적 조사 등이 있고 베트남어의 위치어에는 공간적 동사, 공간적 명사 등이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공간적 명사인 위치어만 선정하여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어의 위치어 „위 - 아래‟와 베트남어의 위치어 „trên - dưới‟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인지 언어학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위치어 „위 – 아래‟의 기본의미, 확장의미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그 개념화 양상을 깊이 있게 대조 연구함으로써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차이점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두 언어 화자들의 인지 체계에 대한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2. 선행 연구 검토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의 공간적 위치를 표현하는 어휘의 기본의미, 확장의미를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대조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위치어 연구에 관련하여 그동안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며 연구 대상의 종류에 따라 정리해 보고 본 연구의 진행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기존의 연구에서는 공간적 위치 지각을 표현하는 낱말들을 위치어로 지칭하고 있다. 우선 한국의 대표적인 논자인 박경현(1986)은 한국어의 공간적 위치어를 연구하였다. 박경현의 관점에 따르면 공간에 대한 개념어는 상위 개념어, 전후 개념어, 좌우 개념어, 내외 개념어, 측위 개념어의 다섯 가지로 이루어져 있고 이 연구는 공간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의 출발점으로 간주한다. 또한 논자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공간어의 그 이런 개념들의 의미를 설명하고 밝혔다. 민현식(1990)은 공간어의 범위와 분류에 대한 체계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품사별 공간어들의 시간어화 파생 여부를 확인하고자 했는데 „인간의 시간·공간적 인식이 품사분류에도 중요한 형성 기제를 이룬다고 보고 시공간적 관점에서 명사를 내용별로 „사람, 물건, 공간, 시간‟의 네 영역으로 나누고, 공간체언의 시간어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홍종선, 1992:462)의 논의에서 제시했듯이 위치어란 어떠한 공간 상태에서 인지되는 대상의 위치를 가리키는 용어로써 „위, 아래‟와 같이 낱말의 자체가 위치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어휘들을 총칭하는 것을 말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위치어에 관련된 낱말로는 „위, 아래, 안, 밖, 앞, 뒤‟ 등이 있는데 공간적 위치 지각을 표현하는 낱말들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높다, 낮다‟ 등과 같이 공간적 위치 상태에서 지각되는 대상 자체가 아니라 공간에서 배치된 위치를 표현하기 때문에 위치어로 보기는 어렵다. 이런 점에서는 공간에 대한 연구가 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온 지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과 베트남에서도 공간 개념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임혜원(2003)은 실제 대화를 통해 한국어 화자의 인지언어학적 공간 은유의 체계를 다루고 공간개념의 은유적 의미확장의 기반을 영상도식으로 보고 이동 도식, 그릇 도식, 척도 도식을 중심으로 공간개념의 은유적 의미확장 양상을 살펴보고 있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개념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은유적 개념화의 단일 방향성의 원리를 확인하고 이동, 그릇, 척도 등의 영상도식이 실재하며, 이러한 영상도식을 통해 목표영역의 개념을 이해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공간 개념의 은유적 확장은 공간에 대한 신체적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신은경(2005)은 공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낱말들의 통사적 의미를 다루고 이차원적 위치와 삼차원적 위치를 중심으로 위치어에 속한 전후, 좌우, 상하, 내외의 의미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 낱말들은 사간대로 어떻게 변화했는지 검토해서 의미가 많아지고 있다는 결론을 냈다. 3 이어서 베트남의 공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동 동사와 위치어에 대한 연구이고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연구도 많다. Phan Khôi Nguyên (1955)은 „trongngoài(안-밖), „trên-dưới(위-아래)‟, „vào-ra (들어오다-나가다)‟, lên-xuống (올라가다- 내려가다)‟을 대상으로 위치어의 의미와 통사적 특징을 밝혔다. 이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trên-dưới‟(위-아래)‟는 문장 속의 위치에 따라 역할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trên-dưới‟는 동사 뒤에 위치하여 수식 명사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동사와 명사를 연결해 주는 연결어가 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Phan Khôi Nguyên 연구에서는 통사론적 관점으로 바탕으로 위치어를 연구하여 베트남어 문장 구조의 위치어의 역할을 가리키고 베트남어 문장의 불합리점을 설명하였다. Vũ Thế Thạch (1978)의 연구는 „đi vào, đẹp lên” 이동 동사와 결합한 복합어들을 대상으로 변화된 이동 동사들의 의미를 보여주고 복합어의 앞에 위치어에 의해 결정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Nguyến Lai (1989)에서 제시했듯이 문장에서의 „lên, vào, về, laị, sang, xuống, ra, đến, tới‟ 등의 이동 동사를 연구 대상으로 통사적인 본동사의 의미와 역할, 문장에서 명사와 결합할 때의 역할를 연구하고 그 본동사들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봤다. 즉 모든 본동사들은 움직임을 표현하지 않는 이유로 문장의 동사가 될 수 있는 게 어려운 것이며 주어와 다른 동사의 양향을 받는 본동사라고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기본적인 의미는 변화되기도 하고 상황에 따라 그 의미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냈다. 베트남어로 작성한 Dư Ngọc Hân (1995)에서도 베트남어 위치어와 공간어를 중심으로 의미적과 통사적인 방향으로 연구하고 베트남인의 인식은 위치어에 표시되어 있다는 점을 밝혔다. Lý Toàn Thắng (2004)에서는 베트남어로도 작성하고 인지언아학적 바탕으로 베트남어 공간어를 논의하였고 정한 위치를 통해 인간을 중심으로 인지한다는 중요한 결론을 냈다. 즉 베트남인들은 자신의 신체를 기초로 공간적 위치를 인지하기도 한다는 심리적 요인을 지적했다. Lâm Quang Đông (2017)는 Lý Toàn Thắng (2004)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어와 영어의 위치어를 대조하고 이 논의는 베트남에서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베트남어와 타 언어 간의 위치어에 대한 기초적인 대조 연구 중의 하나가 된다고 본다. 위의 연구들을 통해 위치어와 관련된 연구 현황을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정리하여 제시한다. 4 첫째, 기존의 연구를 통해, 논의들이 개별 어휘의 의미에 관련하고 있으며 종합적으로 대조 연구가 많지 않다. 물론 한 영역만의 공간 개념이 포함되는 연구도 필요하지만, 종합적인 개념으로 공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각 영역 간의 연관성을 제시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간단한 관계에 대한 관심이 있다. 즉, 기존의 연구를 통해 주로 한국어와 베트남 위치어들에 대한 각 언어의 대응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언어 간의 대응 관계의 양상을 살펴봤는데, 각 언어의 대응 원인을 분석하기가 필요있다. 셋째, 기존 연구는 공간 개념에서 시간 개념으로 은유적 관점으로 연구했다. 시간적 은유에 주목한 연구가 많이 있는데, 공간 영역에서 시간 영역으로 확장하는 연구도 중요하다. 또한 공간 개념을 나타내는 어휘들은 시간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고 추상적인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여 다양한 의미들의 사이에 연관성을 살펴보고, 그 의미 구조를 종합적으로 밝힐 것이 필요 있다. 넷째, 위치어의 의미를 인식하고 개념화하는 과정 중에 논의자들은 이미 형성된 공간어의 의미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한다. 임지룡(2008a)에 의하면, 인간이 일치한 물리적 공간을 표시하기도 한다. 그리고 화자들의 개념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른 위치어를 쓰는 경우도 많아서 공간적 개념화 과정에 대한 분석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대부분의 연구는 사전의 의미에 초점을 맞춘다. 물론 사전은 전문적인 자료이지만 실제적 의미들을 밝히는 논의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의미 차이의 원인에 관련한 대조 연구가 부족하다고 본다. 특히 공간적 개념화 양상, 위치어의 의미 분류 기준, 의미 차이점이 발생한 원인 등과 같은 연구가 부족한다고 본다. 따라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위치어 대조 연구도 간단한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나열에 그치지 않고 유사한 점과 다른 점이 일어나는 근거를 밝혀야 한다고 본다. 종합적으로 보면 기존 연구는 개별 어휘를 통해 한국어와 베트남어 위치어에 대한 대조 연구를 진행해 왔고, 두 언어의 위치어를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대조 연구는 지금까지 활발하지 않다. 한편 위와 같은 대조 연구에서 한국과 베트남 공간어의 관계를 살펴보고, 기본의미와 확장의미의 유사한 점과 다른 점을 제시하거나 대응 양상을 살펴본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공간 개념화의 차이, 의미 분류 기준, 의미 차이점에 대한 원인 분석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5 연구가 다루어질 수 있다면, 위치어에 대해 깊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선행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위치어 „위 – 아래‟의 공간 의미를 밝히며, 화자들의 공간 개념화 양상을 살펴보고, 특히 의미의 차이점이 있는 원인에 주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대조 연구를 통해 한국어와 베트남어 위치어의 의미 구조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화자들의 공간 개념화 양상도 체계적으로 대조해 볼 수 있고, 화자들이 물리적 영역을 초점으로 하여 상황이나 사물을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 방법과 대상 위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상하 위치어를 분석·대조하기로 한다. 그리고 양국 화자들의 공간 개념화 양상과, 의미 확장의 다양한 양상을 대조하기 위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상하 위치어를 체계적으로 대조함으므로 인간 인지 체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현대언어학 연구를 통해 인간의 인식에 대한 관점은 두 대립적인 두 가지가 있다. 예전부터 인간의 이성적 특성은 동물과 가장 뚜렷한 것으로 알고 있어 신체와 분리된 요소로 간주하였다. 구조언어학과 생성언어학의 관점에 의하면 어휘의 의미나 문법 구조는 인간의 마음과 완전히 관련이 없고 자율적인 기호 체계로 언어 자체만의 문제에 속한다는 태도를 제시하였다. 앞서 제시한 입장과 달리 1970~1980년대의 „체험주의‟(3)를 중심으로 언어학 연구가 있어서 인지언어학의 이론과 원리가 전통적인 연구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고 시각으로 언어와 의미의 본질을 밝혀 왔다. 인지언어학의 „체험주의‟의 해명에 의하여 „언어, 몸, 마음과 문화‟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몸과 마음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강조했다. 즉 그 언어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그 언어에 반영된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배경을 파악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상하 위치어의 의미 대조를 진행하는데 그 이유는 근본적 의미와 인지언어학적 언어 해석에 이론적 바탕을 형성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인간의 인지 방식이 세계를 지각하는 방식으로 반영되는 것이며 언어로 표시되었다. 즉 인간의 (3) 임지룡 (2008a:39)에서는 체험주의는 인간의 사고방식이 본질적으로 신체적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입장을 나타낸다. 체험주의를 중심으로 언어는 세계를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도 있고 인간이 적용한 ‘생태적 지위’ 그리고 ‘신체화의 본질’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6 언어는 단순한 기호 체계에 나가고 있고 인지 방식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결국 인지언어학의 입장은 구조언어학이나 생성언어학에서처럼 언어 형식의 분석에 그칠 뿐만 아니라 그 형식 뒤에 숨어 있는 근원을 해석하는 이론이다. 언어의 형식과 의미가 깊은 관계를 지니고 있어서 언어 현상에 대해 강한 해석력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한다. 노재민(2009)은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공간 개념의 확장 양상을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상하 위치어의 의미를 대조 연구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그 차이점의 발생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위의 분석을 통해 보고의 연구 대상인 상하 위치어 „위-아래‟의 공간적 명사에 에 대해 살펴보고 두 언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그 차이점의 발생 원인을 해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고의 연구 대상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도록 한다. 우선 본고의 연구 대상은 상하 위치어의 „용어‟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언급했듯이 학자마다 공간 개념과 범위를 다르게 제시하였다.(4) 기존 연구에서 살펴볼 때는 공간의 지각을 나타내는 용어는 위치어, 공간 개념어, 공간어, 공간 관계어, 공간 위치어 등이 있으나 공간을 표현하는 낱말은 품사별로 공간적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위치, 방식, 형태, 방향 등을 기준으로 나눌 수도 있다. 본고는 위치에 대한 용어만 살피고자 해서 다음 표와 같이 정리했다. 홍종선(1992), 사용하는 용어는 신은경(2005)과 „위치어‟라고 손뢰(2010)는 지칭하였다. 공간적 위치를 표현하기 홍종선(1992:462)에서 위해 언급했듯이 „위치어‟란 어떠한 공간에서 인식되는 대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용어라고 정의하였으나 손뢰(2010:13)는 홍종선(1992)의 논의를 계속적으로 활용하여 „위치어‟는 공간에서 참조대상을 통해 지시 대상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라고 지칭하면서 „위치어‟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는 „위치어‟라고 주장하였다. 앞서 제시한 학자들의 주장과 같아서 본고에서 „위치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하며 위치어 중에서는 „위 – 아래‟라는 반의어 쌍을 대조하여 분석할 것이다. 4. 연구 범위 이절에서는 본고의 연구 범위를 살펴보도록 한다. 인간은 미각, 청각, 촉각, (4) 민현식(1999:55)은 한국어에서 공간적 표현을 나타내기 위해 문법적과 어휘적의 두 가지 수단으로 표현하다고 주장했다. 즉 문법적 표현은 격 범주를 통해 이루어지고, 어휘적 표현은 대명사, 이동 동사 등과 같은 품사로 표현된다. 7 시각, 후각의 5가지 감각 기관을 통해 공간을 인지한다. Fillmore(1982:36-37)에서 언급했듯이 일반적 범주로서 공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측면이 있다. ① 물리적 세계의 어떤 특정 장소에서 어떤 물리적 대상을 표시하는 방법. 어떤 장소에서 어떤 사건이 발생하는 방법. 어떤 대상을 기준으로 다른 대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② 물리적 대상의 크기, 형태와 같은 공간적 특성을 표현하는 방법 ③ 지리적 기준점으로부터 방향에 따라 어떤 공간 속에서 어떤 대상의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 ④ 일정한 대상이 비대칭적 구조에 의해 어떤 공간 속에서 방향을 표현하는 방법 ⑤ 기점과 착점을 가지고 움직이는 대상의 경로를 묘사하는 방법 위의 다섯 가지 중에서 첫 번째 방법은 가장 근본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고는 대상물의 크기, 거리, 상태 등을 표현하는 공간어를 살펴보지 않고 공간적 방향 및 위치와 긴밀한 관계가 있는 „위 - 아래‟를 연구 대상을 선정했다. 그 이유는 두 가지로 요약한다. 첫 번째 이유는 인간이 직립보행하기 때문에 수직 방향에 따라 가장 근본적인 요소를 상하 위치를 인식한다. 그리고 위치어는 공간 개념 범주에서 가장 근본적인 요소로서 그것으로부터 다른 의미 범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언어의 화자들의 근본적인 인지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베트남인 학습자는 „위 – 아래‟라는 어휘의 뜻을 이해할 수 있으나 공간 의미만 파악할 수 있으면서 확장 의미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 한국어를 유창하게 사용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어휘를 파악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위 – 아래‟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본다. 5. 연구 구성 이어서 본고 의 연구 내용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도록 한다. 2장에서는 기본적인 의미 대조 연구를 하기 위하여 인지언어학을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고자 한다. 탄도체, 지표, 참조틀과 시점에 대한 위치 개념을 분석하고, 의미 확장 양상을 밝히는 데에 필요한 인지언어학의 의미 분석 방법론 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8 3장에서는 한국어 „위/아래‟와 베트남어 „trên - dưới‟의 가장 기본적인 공간 의미로부터 해석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한국어 „위/아래‟와 베트남어 „trên - dưới‟의 의미 확장의 양상,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인지언어학의 원리로 차이점이 일어나는 원인을 분명하게 밝히고자 한다. 5장에서는 인지언어학 관점으로 한국어 „위/아래‟와 베트남어 „trên - dưới‟를 대상으로 공간 의미와 확장 의미를 분석한 다음 베트남에서 온 학습자들의 이 반의어 쌍의 오류를 제시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9 제 2 장. 이론적 배경 우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의미 대조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인지언어학 이론을 설명하고자 한다. 20세기부터는 공간 영역은 물리학, 심리학 등과 같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관심을 받아 왔는데 인지언어학적 바탕에서는 인간의 어떤 능력을 통해 공간을 인지하고 언어화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위치어의 의미를 대조하는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배경을 뚜렷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2.1.공간과 위치의 개념 노재민(2009)에 따르면 공간의 인지는 인간이 경험을 체득하고 정신적 심리 과정을 지적하는 것이다. 전수태(1997)에서 제시했듯이 공간은 물리적 공간, 언어적 공간과 인지적 공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객관적으로 실제 세계는 언어의 세계와 일치하지 않은 것이다. 물리적 공간은 우주라는 세계에 존재하며 객관적인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인지적 공간은 물리적 공간과 언어적 공간의 사이를 위치로 객관적 세계와 언어 체계를 통해 세상을 파악하는 매개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전수태 (1997:156)에 의하면 객관적 세계는 언어적 세계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물리적 세계가 언어적 세계의 기본 요소가 된다는 결정을 냈다. 인지적 공간은 인지를 토대로 물리적 공간을 보편화, 추상화, 일반화한 공간이며 언어적 공간은 언어를 통해 인지적 공간이라는 것을 확인한다. 먼저 물리적 공간의 개념을 통해 인지하고 추상화한 인지적 공간을 거친 후에 언어적 공간이 형성될 것이며 세 가지 공간의 연관성은 아래와 같이 도표화할 수 있다. (전수태 1997, 정수진 2010 참조). 그림 2.1.: 물리적, 인지적, 언어적 공간의 관계 그림 1은 물리적 공간, 인지적, 언어적 공간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물리적 세계를 토대로 인간의 개념화는 물리적 공간을 반영하는 인지 범주도 될 수 있으며 언어 세계의 공간 범주도 될 수 있다. 즉, 언어가 객관적 세계를 어떻게 도식화하는지, 10 어떤 수단으로 공간을 표시하는지 심리적 공간을 어떻게 표상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언어마다 개념화의 방식에 의하면 그 양상이 차이점을 가리킬 수 있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은 공간 개념화 양상의 차이점의 원인에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주라는 객관적 세계는 3차원 공간인데 우리는 1차원, 2차원, 3차원 공간으로 개념화할 수도 있다. 이수련(2001:48-51)의 기존 연구들은 물리적 공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1차원, 2차원, 3차원 공간으로 나눈다. 표 2.1: 공간의 구분 차원 공간 설명 1차원 선 길이를 가리킴 2차원 평면 넓이를 가리킴 3차원 입체 비피를 가리킴 위의 도표를 살펴보면 기준점의 원리를 바탕으로 차원과 관련된 공간으로 분류한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관적인 공간이 일치하더라도 화자들의 개념화 방식에 의해 표상 방식도 달라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어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위치어„위-아래‟의 개념화 양상을 대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이론을 밝히고자 한다. 2.1.1. 공간의 개념화 정수진(2010:14)에서 언급했듯이, 신체적 인지를 토대로 공간의 개념은 인간의 가장 이른 시기에 나오고 이러한 공간 개념화 양상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게 되도록 한다. 인간이 머리부터 발끝까지 기본적인 직립 자세를 통하여 이 수직축는 수평축과 결합하여 직각을 이루면 상하 방향,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의 세 가지가 형성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상하 방향만 연구하고자한다. 이러한 직립 자세를 기준점이 됨으로 방향 개념화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할 수 있고 인접의 공간 관계가 인간과 외부 세상으로부터 이룬다. „인접‟ 의 관계에서는 대상물과 참조물 간의 관계에 의해 „부분 관계‟와 „비부분 관계‟로 나누어 질 수 있다. 2.1.2. 위치 개념의 요소 이어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위치어의 공간 의미를 밝히는 데에 필요한 위치 개념의 기본적인 요소를 밝히고자 한다. 2.1.2.1. 배경, 바탕과 윤곽, 탄도체와 지표 첫째는 배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인지언어학에서는 인간의 습득한 경험과 문화적 배경은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 외부 세계를 반영한 언어 표현은 인지에 의해 해석된다고 한다. 우선 배경을 분석하면 인간이 주위의 환경에 존재하는 어떤 11
- Xem thêm -

Tài liệu liên qu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