Đăng ký Đăng nhập
Trang chủ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 비교 연구 ( 파란색, 빨간색을 중심으로)...

Tài liệu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 비교 연구 ( 파란색, 빨간색을 중심으로)

.PDF
85
12
104

Mô tả: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ĐÀO THỊ LIỄU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 비교 연구 (빨간색, 파란색을 중심으로) NGHIÊN CỨU SO SÁNH TỪ NGỮ CHỈ MÀU SẮC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RỌNG TÂM LÀ MÀU XANH, MÀU ĐỎ)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하노이- 2021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ĐÀO THỊ LIỄU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 비교 연구 (빨간색, 파란색을 중심으로) NGHIÊN CỨU SO SÁNH TỪ NGỮ CHỈ MÀU SẮC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RỌNG TÂM LÀ MÀU XANH, MÀU ĐỎ)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지도교수: LÃ THỊ THANH MAI 하노이- 2021 서약문 본 논문은 본인만 작성한 것이라고 약속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결과 발표에서 진실성을 지키며 변조 및 표절을 하지 않는다. 다른 연구자의 공개된 학술 자료를 인용할 경우에는 출서를 명확히 밝혔다. 하노이, 2020 년 08 월 08 일 지은이: 다우 티 리에우 i 감사의 말씀 본 논문은 완성되기까지 세심한 배려와 격려로 이끌어 드린 Lã Thị Thanh Mai 교수님께 진심으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교수님의 지도를 받게 되어 영광이라고 생각합니다. 논문을 작성하는 중에 저 때문에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본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혼동하였을 때도 교수님께서는 학문적인 지식을 차근차근 지도해 주셨습니다.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대학원생 시절 항상 격려와 조언으로 이끌어 주신 하노이 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교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는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후배들의 도움으로 “학생의 한국어 색채어 습득 능력과 색채어 교육 방법의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습니다. 시간을 내 주시고 설문 조사를 해 주셔서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지은이: 다우 티 리에우 ii 국문초록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 비교 연구 (빨간색, 파란색을 중심으로) 지구상에 있는 모든 만물은 다 색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이 시각적으로 감각하게 되어 언어로 표현된다. 색채어는 하나 나라의 전통문화와 밀접한 관계에 있고 그 나라의 사람의 풍습 및 사고방식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생활에는 색채어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데 인간은 색채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한국와 베트남 양국은 같은 동방문화권에 속하고 음양오행에 따른 색채어를 사용하지만 한국어와 베트남어는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두 언어는 각각 교착어와 고립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형태 구조가 다를 뿐만 아니라 사전적 의미, 상징적 의미도 차이점을 나타낸다. 한국어에서는 색채어 관련 연구가 90 년대부터 활발히 이루어졌는데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 연구는 다양하고 풍부하지만 한국어쪽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사실이다. 다른 언어의 색채어와 한국어 색채어를 비교하는 것은 한국어쪽 색채어 관련 연구보다 활발히 진행하지 않고 대부분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양국간의 색채어 비교에 대한 연구들이였다. 그외에 몽골어, 일본어, 영어, 아랍어, 미얀마어 등와 같은 다른 언어의 색채어와 비교하는 연구도 있었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베트남어 색채어는 국어쪽에서 색채어를 연구들만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다른 언어와 비교 연구는 특히 한국어 색채어와 비교로 아직도 활발하게 검토하지 않았다. 그리고 한국어 색채어의 다양한 형태 구조와 복잡한 상징의미로 인해 한국어를 공부하는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많은 어려움을 가져오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색채어를 “빨간색, 파란색”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을 밝히기 위해 제 1 장에서는 먼저 연구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와 베트남어 선행 연구를 고찰한 후에 연구 밥법 및 연구 범위, 논문의 이론적, 실용적 의미, 논문의 구성을 제시한다. 다음에 제 2 장, 제 3 장, 제 4 장, 제 5 장, 제 6 장으로 나눠서 살펴본다. 제 2 장에서는 단어의 개념, 단어의 의미, 한-베 색채어 개념을 따로 고찰하며 양국 언어의 색채어 분류를 검토하였다. 제 3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 형태적 특징을 살펴본다. 한국어는 교착어이며 베트남어는 고립어이다. 이런 언어적 특징으로 한국어 “빨간색, 파란색” 파생어가 전체 색채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에 베트남어는 “빨간색, 파란색” 복합어 색채어가 전체 색채어 중에 iii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양국간의 “빨간색, 파란색” 비교를 통해 본 연구는 형태 구조에서 공통점 및 차이점을 찾아낸다. 다음에 제 4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의 의미적 특징을 비교하여 살펴본다. 색채어의 의미는 두 가지 사전적 의미 및 상징적 의미로 분류되고 비교를 통하여 양국 “빨간색, 파란색”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제시하였다. 제 5 장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을 위한 한국어 색채어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베트남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분석하고 하노이 국립 외국어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실시한 후에 장점과 단점을 찾아낸다. 그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색채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은 제 6 장이 결론부분이다. 결론에서는 총괄적으로 본 연구를 요약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와 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 형태적, 의미적 특징 비교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도 없어서 본 비교 연구의 결과를 통해 두 언어의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도록 추진하고 향후 베트남어를 공부하는 한국인, 한국어를 공부하는 베트남인에게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 “빨간색, 파란색”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고 학습· 교수, 번역에 유용한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이바지하는 것을 바란다. 핵심어: 한국어, 베트남어, 색채어, 빨간색, 파란색, 비교 연구, 형태 구조, 상징의미 iv TÓM TẮT Nghiên cứu so sánh từ ngữ chỉ màu sắc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rọng tâm là màu xanh, màu đỏ) Vạn vật trên thế giới đều mang màu sắc, được con người cảm nhận bằng thị giác và biểu đạt bằng ngôn ngữ. Từ chỉ màu sắc có quan hệ mật thiết với truyền thống văn hóa của một nước và ảnh hưởng nhiều tới phong tục và tư duy của dân tộc đó. Cuộc sống của con người gắn liền với từ chỉ màu sắc nên con người có thể phán đoán nghĩa biểu trưng của màu sắc. Hàn Quốc và Việt Nam là hai nước cùng thuộc nền văn hóa phương Đông và cùng sử dụng từ chỉ màu sắc theo thuyết âm dương ngũ hành nhưng giữa hai nước vẫn có những điểm khác nhau. Hai ngôn ngữ mang những đặc trưng của ngôn ngữ chắp dính và ngôn ngữ đơn lập nên nó không chỉ khác nhau về cấu trúc hình thái mà còn khác nhau về ý nghĩa cơ bản và ý nghĩa tượng trưng. Những nghiên cứu về từ chỉ màu sắc trong tiếng Hàn được thực hiện sôi nổi vào những năm 90 và đã đạt được rất nhiều thành tựu. Những nghiên cứu đó rất đa đạng và phong phú nhưng có hạn chế đó là những nghiên cứu đó chỉ nghiên cứu về màu sắc trong tiếng Hàn. Những nghiên cứu so sánh từ chỉ màu sắc trong tiếng Hàn với ngôn ngữ khác chưa được tiến hành nhiều, chủ yếu là so sánh đối chiếu với tiếng Trung. Ngoài ra, có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ngôn ngữ khác như tiếng Mông Cổ, tiếng Anh, tiếng Ả Rập… Cũng giống với Hàn Quốc, từ chỉ màu sắc trong tiếng Việt được thực hiện nhiều chỉ trong tiếng Việt. Những nghiên cứu so sánh với ngôn ngữ khác cũng chưa được thực hiện nhiều, đặc biệt là nghiên cứu so sánh với tiếng Hàn. Do tiếng Hàn có cấu trúc hình thái đa dạng và ý nghĩa tượng trưng phức tạp nên gây khó khăn cho người Việt Nam học tiếng Hàn. Chính vì vậy, luận văn đã tiến hành nghiên cứu so sánh từ chỉ màu sắc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rọng tâm là màu xanh, màu đỏ. Để làm sáng tỏ mục đích trên, trong chương 1 của bài nghiên cứu, đầu tiên chúng tôi làm sáng tỏ tính cần thiết và mục đích nghiên cứu và quan sát tình hình nghiên cứu của hai nước Hàn và Việt, sau đó chúng tôi trình bày về phương pháp, phạm vi nghiên cứu, ý nghĩa lý thuyết và ý nghĩa thực tiễn của luận văn, cấu trúc v của luận văn. Tiếp theo luận văn sẽ chia thành 5 chương. Chương 2 sẽ trình bày về khái niệm của từ; ý nghĩa của từ; khái niệm, phân chia về từ chỉ màu sắc trong hai ngôn ngữ. Chương 3 sẽ trình bày về những đặc trưng hình thái của màu xanh, màu đỏ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iếng Hàn là ngôn ngữ chắp dính, tiếng Việt là ngôn ngữ đơn lập. Với đặc trưng ngôn ngữ này, từ phái sinh màu xanh, màu đỏ trong tiếng Hàn chiếm tỷ trọng lớn, trái lại từ ghép màu xanh, màu đỏ trong tiếng Việt lại chiếm tỷ trọng lớn. Và thông qua so sánh hình thái của hai màu xanh, màu đỏ, bài nghiên cứu đưa ra một số điểm chung và điểm khác biệt giữa hai ngôn ngữ. Chương 4 sẽ tiến hành nghiên cứu so sánh những đặc trưng về mặt ý nghĩa của màu xanh, màu đỏ. Ý nghĩa của từ chỉ màu sắc được chia làm hai loại đó là ý nghĩa cơ bản và ý nghĩa nghĩa tượng trưng, thông qua đối chiếu làm sáng tỏ điểm chung và điểm khác biệt về mặt ý nghĩa của màu xanh, màu đỏ. Chương 5 trình bày phương án giảng dạy từ chỉ màu sắc tiếng Hàn cho đối tượng người học là người Việt Nam. Đầu tiên, nghiên cứu tiến hành phân tích giáo trình đang được sử dụng nhiều tại các trường đại học ở Việt Nam và bản điều tra bảng hỏi với đối tượng là sinh viên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Thông qua phân tích sẽ tìm ra những những ưu điểm và nhược điểm từ đó đưa ra phương án giảng dạy từ chỉ màu sắc tiếng Hàn một cách hiệu quả cho đối tượng là người Việt học tiếng Hàn. Chương 6 là phần kết luận. Trong phần này sẽ trình bày tổng quan tóm bắt của bài nghiên cứu. Đến nay, vẫn chưa có công trình nghiên cứu liên quan tới so sánh đặc trưng về hình thái và ý nghĩa của màu xanh, màu đỏ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nên thông qua kết quả nghiên cứu so sánh, bài luận văn này hi vọng đóng góp vào sự thúc đẩy trao đổi giữa hai ngôn ngữ, đồng thời giúp cho người Hàn học tiếng Việt, người Việt học tiếng Hàn giao tiếp linh hoạt hơn, hiểu và sử dụng chính xác hơn về “màu xanh, màu đỏ” và trở thành tài liệu giảng dạy hữu dụng trong việc dạy-học, biên dịch… Từ khóa: Tiếng Hàn, tiếng Việt, từ chỉ màu sắc, màu đỏ, màu xanh,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cấu trúc hình thái, ý nghĩa tượng trưng vi 목차 서약문 ............................................................................................................................ i 감사의 말씀 ................................................................................................................... ii 국문초록 ...................................................................................................................... iii TÓM TẮT ...................................................................................................................... v 목차 ............................................................................................................................ vii 표 목차......................................................................................................................... ix 제 1 장: 서론 .................................................................................................................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2. 선행 연구 검토 .......................................................................................................... 2 3. 연구 방법 및 범위...................................................................................................... 7 4. 논문의 이론적, 실용적 의미 ....................................................................................... 7 5. 논문의 구성...............................................................................................................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 9 2.1 단어의 개념............................................................................................................. 9 2.2 단어의 의미............................................................................................................. 9 2.3 한국어와 베트남어 색채어 개념 ............................................................................. 10 2.3.1 한국어 색채어 개념............................................................................................. 10 2.3.2 베트남어 색채어 개념 ......................................................................................... 11 2.4 한국어와 베트남어 색채어 분류 ............................................................................. 11 2.4.1 한국어 색채어 분류............................................................................................. 11 2.4.2 베트남어 색채어 분류 ......................................................................................... 12 제 3 장: 한국어와 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의 형태적 특징 비교 ................................ 13 3.1 한국어 “빨간색, 파란색” 색채어의 형태 구조.......................................................... 13 3.1.1 단일어 색채어 .................................................................................................... 13 3.1.2 복합어 색채어 .................................................................................................... 13 3.2 베트남어의 “빨간색, 파란색” 색채어의 형태 구조 .................................................. 20 3.2.1 단순 색채어 ........................................................................................................ 20 3.2.2 복합 색채어 ........................................................................................................ 20 vii 3.2.3 중첩 색채어........................................................................................................ 22 3.3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빨간색, 파란색” 형태적인 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 .............. 23 제 4 장 한국어와 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의 의미적 특징 비교 ................................. 25 4.1 한국어와 베트남어 “붉은색, 푸른색” 사전적인 의미 ............................................... 25 4.1.1 한국어 “붉다, 푸르다”의 사전적인 의미 .............................................................. 25 4.1.2 베트남어 “붉은색, 푸른색” 사전적인 의미 ........................................................... 26 4.2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붉은색, 푸른색” 상징의미 ................................................... 27 4.2.1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붉은색” 상징의미............................................................. 28 4.2.2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푸른색” 상징의미............................................................. 33 4.3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붉은색, 푸른색” 의미적 특징의 공통점 및 차이점 ................ 38 4.3.1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붉은색” 공통점 및 차이점 ............................................... 38 4.3.2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푸른색” 공통점 및 차이점 ............................................... 40 제 5 장: 베트남인 학습자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색채어 교육 방안 ............................ 42 5.1 한국어 색채어 교육의 필요성 ................................................................................. 42 5.2 한국어 색채어 교수· 학습 현황 및 조사 결과 분석 .................................................. 42 5.2.1 한국어 교재 분석 ................................................................................................ 42 5.2.2 베트남 학습자의 색채어 인식 조사 결과 분석 ...................................................... 44 5.3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색채어 교육 방안 ....................................... 50 5.3.1 의미대조를 통한 색채어 교수· 학습 방식 ........................................................... 50 5.3.2 시각적 자료 활용 방식....................................................................................... 53 5.3.3 색채별 교수· 학습 방식...................................................................................... 55 5.3.4 수준별 색채어 상징의미 교수 학습 방식............................................................. 56 5.3.5 다양한 부분에서 색채어를 보충하는 교안 설계 .................................................. 59 제 6 장: 결론 ................................................................................................................ 62 참고문헌 ..................................................................................................................... 64 부록 ............................................................................................................................... I 부록 1 ............................................................................................................................ I 부록 2 ......................................................................................................................... III viii 표 목차 표 3. 1: 한국어 “붉다, 푸르다” 단일어 계열 표 ............................................................. 13 표 3. 2: 한국어 “붉다, 푸르다” 두 단일 색채어의 결합 표 ............................................. 14 표 3. 3: 한국어 “붉다, 푸르다” 색채어와 의태어의 결합 표 ......................................... 15 표 3. 4: 한국어 “붉다, 푸르다” 반복 첩용에 의한 결합 표............................................. 15 표 3. 5: 한국어 “붉다, 푸르다” 접두사 파생어 색채어의 표 .......................................... 16 표 3. 6: 한국어 “붉다, 푸르다” 색채어+명사 접미사 표 ............................................... 17 표 3. 7: 한국어 “붉다, 푸르다” 색채어+동사 접미사 표 ............................................... 17 표 3. 8: 한국어 “붉다, 푸르다” 색채어+형용사 접미사 표 ............................................ 17 표 3. 9: 한국어 “붉다, 푸르다” 색채어+부사 접미사 표 ............................................... 18 표 3. 10: 한국어 “붉다, 푸르다” 색채어+연결 접미사+색채어 표 ................................ 18 표 3. 11: 한국어 “붉다, 푸르다” 모음교체 표 ............................................................... 19 표 3. 12: 한국어 “빨갛다” 자음교체 표 ........................................................................ 19 표 3. 13: 베트남어 “빨갛다, 푸르다”의 단순 색채어 표 ................................................ 20 표 3. 14: 베트남어의 “빨갛다, 푸르다”의 단순 색채어+단순 색채어 표 ........................ 20 표 3. 15: 베트남어 “붉다, 푸르다” 단순 색채어+보조 색채어 표 .................................. 21 표 3. 16: 베트남어 “붉다, 푸르다” 단순 색채어+보조요소 표....................................... 22 표 3. 17: 베트남어 “붉다, 푸르다” 중첩 색채어 표 ....................................................... 23 표 4. 1: 한국어 “붉은색, 푸른색” 사전적 의미 표 ........................................................ 25 표 4. 2: 베트남어 “붉은색, 푸른색” 계열의 사전적 의미 표 .......................................... 26 표 4. 3: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붉은색” 상징의미 공통점 및 차이점 표 ......................... 38 표 4. 4: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푸른색” 상징의미 공통첨과 차이점 표 .......................... 40 표 5.1: 한국어 교육에서 색채어 교육의 필요성 ............................................................ 45 표 5.2: 급수별 색채어 교육의 필요성 ........................................................................... 45 표 5.3: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 대한 만족도 ................................................................... 46 표 5.4: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서 한국어 색채어와 관련된 내용 .............................. 46 표 5.5: 색채어 관련 내용의 개설의 필요성 ................................................................... 47 표 5.6: 수업 중에 한국어 색채어 교육 방법 .................................................................. 47 표 5.7: 현재 색채어 교육 방법에 대한 만족도 .............................................................. 48 ix 표 5.8: 원하는 색채어 교육 방법 .................................................................................. 48 표 5.9: 파란색, 푸른색의 상징의미에 대한 인식 .......................................................... 49 표 5.10: 붉은색, 빨간색의 상징의미에 대한 인식 ........................................................ 49 x 제 1 장: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언어는 인간을 정의하는 가장 중요한 문화요소로써 사람과 사람사이의 의사를 전달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문화의 창조와 전승에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남기심:1988). 모든 언어는 특정한 사회역사 환경에서 형성되고 발전해 온 것이기 때문에 언어는 특정한 문화 현상을 반영한다. 언어학적 측면을 살펴보면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이 문화를 습득하는 과정과 같은 것이다. 언어와 문화의 관계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한 민족의 언어는 그 민족의 문화 현실을 반영해서 한 민족의 언어는 그 민족 문화를 여는 열쇠와 같은 것이다. 세상의 모든 물체 또는 자연에는 색깔이 있고 인간이 이 색깔들을 물리적 과정을 통해서 인식하고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색채어는 어휘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색채어의 형성과 발전은 인간의 색채인식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인간의 의사소통에서 색채어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색채어는 민족 문화와 긴밀한 관계를 가진 언어라 할 수 있다. 같은 색 이라도 나라마다 다른 문화와 배경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색채어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도 다르다. 예를 들어 한국 국기와 베트남 국기에는 공통적으로 빨간색이 사용된다. 그러나 한국의 파랑과 빨강은 음양의 균형을 표시하는 반면 베트남의 빨강은 혁명의 열정이를 상징한다. 한국의 색채어는 유형별로 고유어 색채어, 한자어 색채어, 외래어 색채어, 혼종어 색채어 등으로 나눌 수 있고, 품사별로 명사 색채어, 형용사 색채어, 부사 색채어, 동사 색채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형태별로는 단일어, 복합어, 파생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의 색채어는 그 표현이 다양하고 의미 분화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색채어를 배울 때 이해하기 어렵고 헷갈리는 것이 많다. 또는 오래로부터 색채어의 연구는 세계의 연구 학자뿐만 아니라 중국, 한국, 베트남 학자에게서 관심을 끌고 있다. 색채어가 보편적인 의미론적 어휘 분야 중에 하나이라서 오래부터 색채어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그것은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를 만들었다. 대다수의 연구들은 색깔의 구조적 특징, 의미론적 특징을 연구하거나 검정, 흰색,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과 같은 기본적 색깔로 기술하는 중심으로 색채어 단위의 체계를 연구한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양국간의 색채어도 연구되었는데 음양오행의 가본 색채어만 연구했다. 한국와 베트남의 비교할 구체적인 색채어 그룹에 대하여 깊게 연구하는 것은 매우 적다. 1 음양오행설에 따르면 “빨간색, 파란색”은 다섯 가지 기본 색채어에 속해서 한국과 베트남은 중국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양국 문화에서 많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 비교 연구 (파란색, 빨간색을 중심으로)”를 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색채어의 형태론, 의미론 연구을 검토하고, 한· 베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색채어 중 파란색, 빨간색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도록 한다. 연구 목적은 형태적, 의미적 측면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의 체계적 특징을 명백하게 하며 동시에 비교 연구를 통하여 두 언어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논문의 결과는 빨간색과 파란색의 상징의미를 통해 한국과 베트남 양국간의 언어, 문화, 인식에서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와 베트남어 학습자에게는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고 강의나 사전 편찬, 번역 등 여러 분야에 있어서도 기여할 것이다. 2. 선행 연구 검토 한· 베의 빨간색, 파란색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선행 연구 학자들의 논의를 정리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에 대한 연구 주제는 지금까지 많은 성과를 거둬 왔다. 주요 내용은 사물 대응 색채어, 시나 소설 ...같은 문학 작품 속에서의 색채어 연구 등 다양한 주제로 색채어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들에서는 주로 한국어, 베트남어 색채어의 어원, 색채어의 구성과 분류, 그의 상징 의미, 관용 표현 속에 의미에 대한 분석 등 연구되었다. 2.1 한국어 색채어에 대한 선행 연구 한국에서 한국어의 색채어를 연구하는 학자가 많은데 신현숙, 김영란 (2004)의 “우리말 교육을 위한 색채어 어휘 정보”, 손세모돌 (2000)의 “국어 색채어 연구”, 이승애 (1997), “국어 색채어의 의미 구조 연구”, 나혜숙 (1995)의 “우리말 색채어 연구”, 정제윤 (1988)의 “우리말 색채어의 낱말밭”, 강재원(1985)의 “우리말 색채어어 의분화연구”, 박선우 (1986)의 “현대국어의 색채어에 대한 연구” 등등을 들 수 있다. 이런 연구들에서는 주로 한국어 색채어의 어원, 색채어의 구성, 그리고 의미에 대한 분석 등등이 연구되었다. 한국어 색채어에 대한 연구는 문학, 어학, 국어 교육 등에 대한 관련 연구들이 있으며 한국어와 다른 외 국어의 비교 연구로 분류된다. 한국어 색채어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2 김정아 (2008)는 중세· 근세· 현대국어 색채어의 의미론적 변화 및 형태론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색채어의 형태론적 변화에는 색채형용사+ “-아/어 ㅎ-의 변화, 자동사적 용법, 접두사와 접미사의 변천, 경음화와 격음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의미적 변화에는 색채 어간 변별의 변화, 계열어장의 변화등을 고찰하였다. 본고는 색채어에 국한해서 통시적인 확장, 분화과정을 고찰해 보는 한제가 나타난다. 김혜원 (2008) 색의 상징성과 우리말 표현 연구에서는 동양의 색채관과 음양오행설 및 서양의 색채관을 분별하여 살펴보았다. 동시에 한국의 역사에 나타나는 색채 의식과 한국의 색이름 체계와 한국 색채어 표현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색채어의 상징의미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비하게나마 색채어를 기호화하여 먼셀색상과 대응 시켜보려고 하였으나 색채어의 특성상 어느 한 색으로서 정의 내릴 수 없었다. 그리고 대상에 쓰이는 “발그레하다, 불그스름하다, 푸르댕댕하다...” 등과 같은 것은 “어느 색이다”라는 지정할 수 없는 한계에 부딪힌다. 이창근 (2001)은 국어의 기본 색채어를 백, 흑, 청, 황, 적 오 색으로 정하고 그 근거를 밝혔으며 색채가 전통 문화 속에 의미로 존재하는 것을 고찰해 보았다. 또 색채어를 용법별로 분류하여 색채어가 언어 생활에서 다양하게 쓰임을 명확하게 했다. 읽기 교과서에 나타난 색채어를 색 계열별, 수식 대상별, 학년별, 용법별, 문종별, 형태론적으로 분석하여 폐제상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색채어와 수식 대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알아보가 위해 설문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실시한 후에 구체적인 색채어 지도 방안을 색채어의 이해 지도, 색채어 활용의 지도, 맥락 파악 지도, 문학 작품을 통한 지도 구체화하였다. 그렇지만 각각의 방법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이는 한계에 부딪힌다. 나혜숙 (1995)은 오색을 대상으로 고유어 색채어를 형태소의 구성 양상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고 형태론과 의미론을 고찰하였다. 조어법에 따라 형태소 분석과 의미 분석을 통하여 고유 색채어 특징을 분명하게 한다. 색채어의 어원과 음운에 의한 어감 및 색감의 차이도 밝혔다. 정재윤 (1988)는 색깔의 명암과 채도에 따라서 높은 정도 및 낮은 정도로 나누고 어휘 분화에 대해 의논하였다. 색채어 기본 동사인 색채어의 기본의미를 광선의미, 색채의 의미, 공간의미로 셋으로 구별하고 살펴보았다. 색채어 기본 동사만를 연구하는 한계에 부딪힌다. 김인화 (1987)에서는 현대 한국어의 색채어 연구라는 주제로 연구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현대 색채어의 의미적인 3 면과 문법적인 면의 구성으로 살펴보았으며 고유어 색채어와 한자어 색채어, 기타 색채어로 분류하여 살피었고 “붉다”, “검다”, “희다”, “푸르다”, “누르다”인 한국어의 기본 색채어 오색을 살피고 문법적 측면에서 단어구성 및 단어형상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의미적 측면에서 고유어 파생 색채어만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한계점이 있다. 박선우 (1985)는 “누르다, 푸르다, 붉다, 검다, 희다”에 접사가 붙은 색채 형용사를 중심으로 색상, 명도, 채도인 색채의 속성과 언어 표현에 따라 의미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접사가 붙은 색채 형용사의 의미만 분명하게 한다. 다른 언어과 한국어 색채어의 대한 비교 연구는 지금까지 활발하게 진행된 것이다. 한국어와 다른 외국어 간의 비교 연구로는 한국어와 중국어를 비교한 연구가 주로 많이 이루어졌는데 대부분의 연구들은 오색 “붉다, 검다, 희다, 파랗다, 노랗다” 집중적으로 하여 그의 문화 상징 의미를 표현으로 파악하 고있다. 그리고 대부분 연구는 형태적, 의미적 특징에 집중하게 연구하여 진행하였다. 그외에 일본어, 몽골어, 프랑스어 등과 같은 다른 언어도 비교 연구가 생겼지만 이런 비교 연구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마친 (2017)는 한· 중 색채어를 대조 분석하는 것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색채어 학습 정보를 제시하기 위해서 어원, 형태, 문화적 의미를 바탕으로 대조 해석을 하였다. 음양오행설에 의한 기본 색채어중에 “붉은색, 노란색, 푸른색”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색채어를 가지고 있는 형태적 특징과 문화적 상징 의미에 중점을 두고 대조한다. 이쉐시윈 (2016)에서는 한국어와 미얀마 색채어 어휘에 따라 기본 의미, 상징의미, 형태를 비교하기로 했다. 색채어의 분류와 의미로 나뉘어서 설명하여 상세하게 연구가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또한 다른 학자들의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과 보완을 시도할 것이 며,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실용이 가능하고, 두 언어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색채어 표현이 가지고 있는 현재 한계점을 풀기 위해서 인식 조사를 통해 기본 색채어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마얀마어의 기본 색채어인 고유어 관련 부분만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검토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왕루엔쥔 (2013)은 한국어와 중국어 색채어중 오행의 기본색에 해당하는 “붉은색, 검은색, 흰색, 노란색, 푸른색”을 대상으로 하여 형태와 의미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우박 (2012)에서는 한· 중 오색에 해당하는 어휘을 선택하여, 그 어휘들의 체계를 정리한 후에 인지의미론적인 관점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의미 변화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렇지만 본교에서는 한· 중 기본 다섯 가지 빛깔을 나타내는 색채어만을 대상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고 한다. 4 권세라 (2011)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색채어를 비교하여 “붉다, 푸르다, 누르다, 희다, 검다” 와 중국어 “青, 红, 黃, 白, 黑”를 고찰하고 색채어의 형태적인 특징을 통해 상징의미와 기본 의미의 비교를 하였다. 이 논문이 오색 계열에 대한 한정적인 논의라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정민녀 (2007)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기본 오색의 문화 상징 의미를 분석하면서 기본적인 의미와 문화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 기본 오색으로 두 언어간 색채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전통적인 다섯 가지 색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을 제외하고 한 가지 계열 색채어나 몇몇의 색채어 연구도 있기는 하지만 별로 많지 않은다. 그중에 김민경 (2017) 색채 연어와 텍스트 맥락 대조를 통해 본 한· 불 색채어 비교 연구: 한국어 '빨갛다' 계열, ‘파랗다’ 계열과 프랑스어 'rouge', 'bleu'를 중심으로”, 양홍예 (2016) 중국인을 위한 ‘노랗다 (황색)’ 계열 색채어 교육 연구”, 왕효 (2016) “한· 중 기본 색채어 ‘검다/희다' 와 ‘黑/白'의 대비 연구”, 우련의 (2015) “한· 중 ‘붉다’ 계열 색채어 은유 비교 연구”, 이청 (2013) “한· 중 ‘희다’계열 색채어 대조 연구”, 피지앙지아오 (2013) “한· 중 ‘붉다’ 계열 색채어 연구”, 김명자(2011) “한국어 학습자의 색채어 의미 이해를 위한 기초 연구- ‘붉다’ 계열 형용사를 중심으로” 등을 들 수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어 색채어 논문 들은 90 년대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어 색채어의 기원, 색채어 이미지 연구, 사물 대용 색채어, 시나 소설 같은 문학작품 속에서의 색채어 연구 등 다양한 주제로 색채어를 연구하고자 하는 논문들이 많았다. 또한 이런 연구들에서는 음양오행설에 따른 색채어를 중심으로 주로 한국어 색채어의 어원, 그리고 색채어의 구성과 분류, 의미에 대한 분석 등등이 연구 되었다. 다른 언어와 한국어 색채어를 비교 연구들은 주로 중국어와 비교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외에는 다른 나라와 연구 비교도 생기지만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2.2 베트남어 색채어에 대한 선행 연구 실시한 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베트남 연구자와 한국 연구자의 주제 전개에 많은 공통점이 보였다. 베트남에도는 일부의 색채어나 색채어의 체계에 대한 연구들이 있었다. 베트남어 색채어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히 실시하지 않았고 아직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베트남어 색채어를 중심으로 한 연구로는 Lê Phương Thảo (2018), Trần Thùy Hương (2016), Trịnh Thị Thu Hiền (2015), Lê Thị Kim Tuyến (2014), Trịnh Thị Minh Huong (2009), Nguyễn Thị Thu Sương (1999), Nguyễn Khánh Hà (1995), Lê Ngọc Năm (1982) 등을 들 5 수 있다. 특히 한국어와 베트남어 색채어 대조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Nguyễn Thị Vân (2017), Trần Thị Thu Phượng (2016) 등을 들 수 있다. Nguyễn Thị Vân (2017)에서는 기본 오 색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 대조를 연구하여 실시하였다. 양국 언어간 그의 색채어의 문화적 상징 의미를 대조 및 분석하는것을 실시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색채어의 사전적 의미와 문화적 상징 의미로 나누어 두 나라의 색채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재 분석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 색채어의 고유어만 연구하는 한계에 부딪힌다. Trần Thị Thu Phượng (2016)는 한국어 검은색 및 흰색의 색채어 특징연구베트남어와 대조 주제로 연구 하였다. 이에는 한국어 검은색 및 흰색의 색채어 의미적 특징 및 형태적 특징에 대한 연구하며 그 다음에 베트남어 색채어 대조를 하였다. 고유어인 검은색, 흰색만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한제였다. Trịnh Thị Thu Hiền (2015)에서는 베트남어에서 빨간색, 파란색 두 색채어의 특징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의 어의 특징 및 베트남의 민요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기능 역할을 가지고 있는 특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한계점은 빨간색, 파란색의 모든 특징을 적절히 연구하지 않았는다고 한다. Trịnh Thị Minh Hương (2009)에서 베트남어 색채어의 구조적 특징과 의미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 후에 베트남 민요 및 시에서 나타난 색채어를 분석하여 실시하였다. Trần Thị Kim Tuyến (2004)는 프랑스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 의미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 논문에는 파생, 전이, 품사 전달 가능에 대한 프랑스어- 베트남어의 색채어 의미적 특징 연구를 하였으며 그부터 두 언어의 의미적 특징을 지적하였다. Nguyễn Khánh Hà (1995)에서 베트남어의 색채어 체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베트남어에서 나타나는 색채어 체계를 통계하고 표를 작성하였다. 그 후에 어휘의 의미와 전통 문화의 관계를 명확히하는 데 사용되는 문맥을 분석하는 시스템으로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위에 있는 연구들을 통해 색채어에 대한 대조 연구들은 한.중 색채어 연구에 대해 활발히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 베트남어 색채어의 비교 연구들은 거의 많지 않다. 이제까지 한국어 및 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의 색채어에 대한 비교 연구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 목적은 한국어와 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을 비교하여 한국어 색채어에 대하여 더 깊이 연구하고 새로운 점을 찾기를 기대할 것이다. 6 3. 연구 방법 및 범위 3.1. 연구 범위 본 논문에서 “빨간색, 파란색” 2 가지 색채어를 선택하여 형태적, 의미적인에 대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를 비교하고 분석할 것이다. 그 바탕으로 두 언어의 “빨간색, 파란색”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찾아낸다. 3.2. 연구 방법 본 논문을 완성하기 위해 통계 종합 연구 방법을 진행했다. 일반화-체계화 방법: 선행 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논문에 관련한 이론을 통합하고 습득한다. 그 이론을 잘 터득하여 그 바탕으로 자료 조사, 수집,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통계-분류 방법: 참고했던 자료로 한국어의 “빨간색, 파란색”을 통계하고 분석한다. - 분석 방법: 의미 성분으로 단어의 구조를 분석하는데 사용한다. - 비교 방법: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빨간색, 파란색” 형태적, 의미적 특징을 명백하게 하도록 비교 연구하며 한국과 베트남 양국간 문화, 인식 등 공통점과 차이점을 두르러진다. - 사례 연구: “빨간색과 판간색”의 색채어 고찰에 집중할 것이다. - 설문 조사법: 학생의 한국어 색채어 습득 능력과 색채어 교육 방법의 만족도를 조사 실시를 하였다. 4. 논문의 이론적, 실용적 의미 이론적 의미: 한국어의 어휘를 구체화할 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색채어를 체계화하는 데 기여한다. 실용적 의미: 연구 결과는 강의나 사전 편찬, 번역 등 여러 분야에 기여할 것이다. 5. 논문의 구성 본 연구의 구성은 6 장으로 나누고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선행 연구 검토, 연구 방법 및 범위, 논문의 이론적, 실용적 의미, 논문의 구성을 제시한다. 제 2 장: 이론적 배경이다. 이 장에서는 한-베 색채어 개념과 분류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배경을 밝혀낼 것이다. 제 3 장: 한국어-베트남어 “빨간색, 파란색”의 형태적 특징을 제시한다. 양국 언어 “빨간색, 파란색”의 형태적 측면에서 비교하고 공통점 및 차이점을 찾아낸다. 7 제 4 장: 한국어-베트남어 양국 언어간의 “빨간색, 파란색” 의미적 측면에서 비교할 것이다. 즉 기본의미와 상징의미를 제시하고 양국간의 문화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 볼 것이다. 제 5 장: 한국어를 학습하는 베트남인을 위해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고려대학교, 베트남인을 위해 종합 한국어, 연세대학교 교재인 베트남에서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다. 학습자의 인식 조사를 실시한 후 색채어를 학습하는 데에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6 장: 결론이다. 8
- Xem thêm -

Tài liệu liên quan